김원행
1702년(숙종 28)∼1772년(영조 4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춘(伯春), 호는 미호(渼湖)·운루(雲樓). 아버지는 승지김제겸(金濟謙)이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로 이조
terms.naver.com
북학파
조선 후기에 청나라의 학문과 기술을 받아들이자고 주장한 학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북학’이란 청의 학문이나 문물을 뜻한다. [풀이] 조선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청에게 무릎을
terms.naver.com
길러낸 제자들 횃불이 되다
연암(燕巖) 박지원①…홍대용과의 도의지교(道義之交)와 북학파 - 헤드라인뉴스(HeadlineNews)
[한정주=역사평론가] 18세기 조선의 문예부흥과 지식혁명을 이끈 세력은 두 개의 재야 지식인 그룹이었다. 그 하나가 성호 이익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학문을 배우고 사상의 영향을 받은
www.iheadlinenews.co.kr
박윤원
조선후기 『근재예설』, 『근재집』 등을 저술한 유학자.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영숙(永叔), 호는 근재(近齋). 공주판관 박사석(朴師錫)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해 책을 읽으면 한
terms.naver.com
오윤상
조선 후기의 학자. [생애] 오윤상(吳允常)의 본관은 해주이고, 자는 사집(士執), 호는 영재(寧齋)이다. 할아버지는 오원(吳瑗)이고, 아버지는 판서를 역임한 오재순(吳載純)이며, 어머니는 연안이
terms.naver.com
황윤석
조선후기 『이재유고』, 『이재속고』, 『이수신편』 등을 저술한 학자. 운학자. [내용]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영수(永叟), 호는 이재(頤齋)·서명산인(西溟散人)·운포주인(雲浦主人)·월송외
terms.naver.com
'남기고 싶은 글 > 진경문화와 북학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암(農巖 김창협)家의 세보 (0) | 2021.04.01 |
---|---|
석실서원 동영상 (0) | 2021.04.01 |
(북학파)낙론의 대학자들 탕평비를 마주하다 (0) | 2021.03.30 |
(북학파)석실서원 입학, 차별을 두지 아니한다 (0) | 2021.03.30 |
진경문화의 대가들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