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又次前韻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今日吾衰甚 지금 내가 너무 노쇠하여 一朝賦落齒 하루아침에 이빨 빠진 것을 읊네 落一猶自可 하나 빠진 것은 그래도 괜찮지만 次第搖未已 차례로 연이어 흔들려 齟齬相枕藉 아래위 어긋나 제멋대로인데 不落則不止 다 빠지지 않으면 멈추지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앞의 시에 차운하다 次前韻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凡人有氣血 사람에겐 혈기(血氣)가 있으니 軀命不係齒 생명은 이빨에 달려 있는 게 아니지 縱然盡脫落 이빨이 모조리 빠진다 해도 脫落卽而已 빠지면 그만일 뿐이지 一落心雖驚 한 번 빠지면 깜짝 놀라지만 落盡亦應止 다 빠지면 또한 그런 마음 없..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이빨이 빠져 한 문공(韓文公)의 시에 차운하다 齒落 次韓文公韻 이빨이 빠져 한 문공(韓文公)의 시1)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念我生之初 생각해보면 나 처음 태어날 때 豈有一牙齒 어찌 어금니 하나 있었겠나 在懷八九月 부모님 품에 있는 여덟아홉 달 齒漸生不已 점차 이빨이 쉬지 않고 자라나 上齦與上2)齶 아래위 잇몸에 充滿方始止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