齒落 次韓文公韻
이빨이 빠져 한 문공(韓文公)의 시1)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念我生之初 생각해보면 나 처음 태어날 때
豈有一牙齒 어찌 어금니 하나 있었겠나
在懷八九月 부모님 품에 있는 여덟아홉 달
齒漸生不已 점차 이빨이 쉬지 않고 자라나
上齦與上2)齶 아래위 잇몸에
充滿方始止 가득 차고 비로소 멈추었지
堅能嚼木石 나무나 돌을 씹을 정도로 견고했는데
動搖心所恥 흔들리면 속으로 부끄러워했지
無何衰相至 얼마 지나지 않아 노쇠해져서
齒落云老死 이빨 빠지면 늙어 죽는다고 했던가
擧世同此歎 세상사람 누구나 이런 탄식하니
復何別人己 남이나 나나 어찌 다르겠는가
酸疼妨溫酒 욱신거리면 따뜻한 술 못 마시고
冷徹難飮水 시리면 찬 물 마시기 어렵지
豁如溪漲過 이 빠진 곳 불어난 시냇물 흐를 듯 넓고
落將秋葉比 빠지는 속도는 가을 낙엽 지는 듯하지
摩挲意無窮 빠진 이빨 만지니 별 생각 다 드니
不與初毁似 처음 빠질 때와는 다르네
初毁生猶再 처음엔 빠지면 또 났는데
一落固已矣 이젠 한 번 빠지면 정말 그만이네
我今得中壽 나는 지금 반평생 살아온 나이
鼎鼎過五紀 세월 빨라 오십을 지나네
齒之於人也 사람에게 이빨은 중요하니
緊豈同枝指 어찌 팔다리나 손발가락과 같겠는가
性命寓食飮 생명은 음식에 의해 유지되니
無齒無所恃 이빨이 없으면 의지할 데가 없지
朶頤對珍羞 턱을 늘어뜨리고 진수성찬 마주하면
相顧一菀爾 돌아보며 항상 답답하고 우울하지
不能咀嚼者 음식을 씹을 수 없는 자
何異糞土視 더러운 흙처럼 쓸모없는 존재네
安得無堅物 어떻게 해야 연한 음식 얻어
還我少年喜 기뻤던 젊은 시절로 돌아갈 수 있나
少年不可得 젊은 시절 다시 올 수는 없지만
存餘亦信美 남은 이빨 아직 훌륭하니
爲次落齒詩 「낙치(落齒)」시에 차운하여
歎息昌黎子 창려(昌黎; 한유의 호)를 탄식하노라
1) 한 문공(韓文公)의 시 : 문공은 한유(韓愈)의 시호이다. 한유의 「낙치(落齒)」로, 원문은 다음과 같다. “去年落一牙 今年落一齒 俄然落六七 落勢殊未已 餘存皆動搖 盡落應始止 憶初落一時 但念豁可恥 及至落二三 始憂衰即死 每一將落時 懔懔恒在己 叉牙妨食物 顚倒怯漱水 終焉捨我落 意與崩山比 今來落既熟 見落空相似 餘存二十餘 次第知落矣 儻常歲落一 自足支兩紀 如其落併空 與漸亦同指 人言齒之落 壽命理難恃 我言生有涯 長短俱死爾 人言齒之豁 左右驚諦視 我言莊周云 水雁各有喜 語訛默固好 嚼廢軟還美 因歌遂成詩 持用詫妻子”
2) 上 : 下의 오자인 듯하다. 우선 下의 뜻으로 해석한다.
'기증유물 도록 > 황산유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0) | 2011.03.19 |
---|---|
앞의 시에 차운하다 (0) | 2011.03.19 |
한가히 읊다 (0) | 2011.03.19 |
성상께서 성균관(成均館)에 납신 날 삼가 짓다 (0) | 2011.03.19 |
벗을 그리워하며 (0) | 201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