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고 싶은 글/효명세자와 김유근

다시 찾은 고궁박물관

추읍산 2019. 6. 30. 17:43

발췌한 곳 : 고궁박물관 특별전시회 문예를 꿈꾼 왕세자 효명

27일 개막식에 이어 오늘 다시 찾았다.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린다.  사진속 해제힌 글을 크게 보려면 클릭하십시오.

참고 : 해명한 글 크게 보려면 사진위에 커서를 놓고 클릭하세

 


 


효명세자의 생애


탄생과 책봉

세자의 태를 묻는 절차에 대항 의궤

조선 1809년

종이에 먹 (필사본).81.3 ×39.3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보물 제 1901-1호


효명세자의 태를 안장하고 태실을 조성한 기록이다. 1809년 8월 9일 태터나자 8월 16일 8월 9일 탄생하자 8월 16일 오늘날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태실 마련을 건의하였는데, 그대로 조성하였다. 이 의괘는 당시 거행한 절차와 조성과정, 규모등을 정리해 놓았다. 

 


왕세자 冊封 玉印 . 竹冊, 敎命

옥, 대나무에 금속, 비단

옥인 12× 12.1×11.4. 죽책 17×107.0. 교명 40.4×308.0

1812년 효명세자를 왕세자로 임명하면서 제작한 의례용 옥인, 죽책, 교명이다. 옥인에는 王世子印이라는 책봉명이 새겨져 있다. 죽책은 음각한 글자에 金泥를 채워 왕세자 책봉을 명한다는 내용과 함께 왕의 訓諭(가르침의 말)를 담고 있으며 , 교명은 오방색으로 직조한 비딘 위에 왕의 당부의 말을 적고 있다.

 


순조와 순원왕후의 존호가 새겨진 옥보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했던 1827년부터 1830년까지 매일의 政務릏 기록한 책이다. 필사본 52책으로 구성되어1827년 2월분에 해당하는 1책은 전해지지 않는다. 형식과 체재, 구성등에서 국왕의 통치 기록에 준해 작성되었다. 내용은 천문기록 ,국가의 제사에 관한것 經筵과 政事등 관료들과의 논의, 관원, 관원및 백성에게 내린 恩典 관련, 관료임명, 각종 상소와 세자의 비딥, 각 관청에서의 보고 문서류, 과거 시행, 및 형옥과 관련한 기록등으로 구성되어 대리청정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효명세자가 쓴 서희순의 호


 

 

 


효명세자 성균관 입학식 그림

 

 


 

 세자가 8살 때 쓴 글씨와  세자시강원 文學[왕세자에게 가르치는 정5품의 관직]이었던 홍희조(1887-?)의 글이 실려 있는 족자이다. 효명세자는 서연에 참여한 홍희조에게 세 번에 걸쳐 글씨를 하사하였다. 4월 11일에 莊子 天地의 장수하고 부유하고 아들 많이 두시길 바랍니다 <富貴多男子>라는 구절을 5월 12일에 팔원팔개(八元八凱)처럼 재능 있는 신하를 등용하소서 라는 구절을 25일에는 堯舜시대의 시 卿雲歌의 구절 중 일부를 발췌한 해와 달이 밝게 빛나고 남풍이 때에 맞게 불어오도다[日月光華兮 南風之時兮]라는 문장을 써서 내려 주었다.


 

 

 

 

 

 


 ㅇ오

 

 

 

 


 

 


 효명세자 능에 관한 기록


 약방제조 홍기섭의 기록


 효명세자 시호릏 내릴 때 옥책과 죽책



 

 

 

 

 

 

 

 

 


 경헌집(敬軒集)


조선 1836년

종이에 먹(필사본)

한국학중앙영구원 장서각


효명세자 사후인 1832년 순조의 명으로 세자가 쓴 글을 망라하여 편찬한 문집이다. 이후 1834년 헌종이 효명세자의 글을 추가로 수록하여 문집을 새로 필사하도록 하였는데 증보된 경헌집은 1836년에 완성되었다. 효명세자가 시에 뒤어난 재능을 보였던 만큼 문집의 절반 이상이 시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그외에 부(賦), 사(詞), 樂章 등 다양한 종류의 글과 세자가 정무를 보는 가운데 작성한 각종 문서들이 수록되어 있다.



학석집(鶴石集) 한문본

조선 19세기 초

종이에 먹(필사본), 26.8×17.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효명세자의 문집으로 대부분 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효명세자의 문집 가운데 유일하게 세자가 쓴 직접 쓴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직접 정리한것으로 추정된다. 서문에서 세자는 경서와 사서를 읽는 한편으로 시학에 관심을 가져 시를 지었다고 한다. 학석은 세자의 거처인 연영합(永永합)의 당호였다.

 





 

 



 

 

 

 

 

 

 

 

 

 

 

 

 

 

 

 

 

 

 

 

 

 

 

 

 

 

 

 

 

 

 

 

 

 

kk

 

 h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