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영 김병기 일가 옷 중요민속자료6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고려대학교박물관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이 입었던 옷이다. 김병기는 헌종 13년(1847)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좌찬성까지 오른 인물로, 아들인 김용규는 참판을 지냈으며, 손자인 김승진은 정 9품의 벼슬을 지냈다. 유품에는 김병기 조복과 제복이 각각 1점씩, 구군복 2점, 쾌자 2점, 땀받이용 배자류 1점,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관복 각각 1점씩, 부인 송씨의 원삼 2점과 그 밖에 아들 김용규의 호패와 술이 남아있다. 조복은 신하가 왕에게 아침 문안을 드릴 때나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입던 옷이며, 제복은 왕이 종묘사직 등에 제사 지낼 때 함께 참여한 신하들이 입었던 옷이다. 구군복은 문관과 무관이 입던 군복이며, 쾌자는 전복이라고 부르는 옷으로 구군복을 차려 입을 때 협수 위에 입는 옷이다. 배자는 저고리 위에 덧입는 조끼 모양의 옷이며, 원삼은 궁중의 여인들과 사대부인들의 대례복일 뿐만 아니라 결혼식을 올릴 때 신부의 예복으로도 사용하였던 옷이다.
조복 중요민속자료6-1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유품과 함께 발견된 조복이다. 이 옷은 김병기가 입었던 조복으로, 왕에게 아침문안을 드릴때나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또는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낼 때 신하들이 입었던 옷이다. 조복을 입을 때에는 머리에 양관이라는 금관을 쓰고 소매가 넓은 두루마기 형태의 옷을 입고, 겉에는 무늬가 없는 붉은색 비단에 검은색으로 테를 두른 적초의를 입었으며, 가슴에는 대대를 둘렀다. 아래에는 치마 형태의 적초상을 입었고 무릎에는 정사각형 모양의 폐슬을, 뒤쪽에는 후수를, 양옆에는 옥으로 만든 옥패를 늘어뜨리고 손에는 홀을 쥐었다.
구군복 중요민속자료6-2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유품과 함께 발견된 구군복이다. 이 옷은 김병기의 것으로, 조선 후기의 문관과 무관이 입던 군복이다. 구군복을 입을 때는 머리에 벙거지라고도 부르는 가죽으로 만든 전립을 쓰고, 겉에 소매와 무, 앞섶이 없는 전복을 걸치고, 안에는 포의 일종인 붉은색의 동달이를 입었다. 등에는 가죽으로 만들어 활과 화살을 넣어 두던 통개를 메고, 오른손에는 채찍이 달린 지휘봉인 등채 들고, 사슴가죽으로 만든 목화를 신었다.
전복 중요민속자료6-3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유품들과 함께 발견된 전복(戰服)이다. 전복은 군복을 차려 입을 때 협수(동달이)위에 입던 옷으로 쾌자라고도 부른다. 하나는 검은색 비단옷에 안은 붉은색이며, 다른 하나는 남색옷에 흰색 명주로 안을 대었다.
소례복 중요민속자료6-4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유품들과 함께 발견된 소례복으로, 김병기와 손자인 김승기의 것이다. 이 옷은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입던 평상복의 일종으로 간단한 형식을 취하며, 깃은 둥글게 만든 단령이며 자주색의 비단으로 만들었다. 겨드랑이 아래쪽에 다른 천으로 덧댄 무의 앞과 뒤가 같고, 소매통은 좁다. 가슴과 등 쪽은 다른 천으로 덧대었으며, 가슴에는 수놓은 흉배가 없다. 또다른 하나는 넓은 소매로 되어있고 한 마리의 학 그림이 있는 흉배가 있는 것으로, 손자인 김승진이 25세 때 재혼하면서 입은 것이라고 한다. 그 밖에 머리에 썼던 검은색의 흑사모와 흰색의 백사모가 각 1점씩 남아있다.
제복 중요민속자료6-5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유품들과 함께 발견된 제복이다. 제복은 왕이 종묘사직 등에 제사 지낼 때 함께 참여한 신하들이 입었던 옷으로, 머리에는 양관을 쓰고 푸른색 청초의를 입었다. 이 유품은 검은 옷에 가장자리도 검은 선으로 두르고 있다. 원래의 제복은 푸른 옷에 검은 선을 두르는 청초의였는데, 언제부터 이런 형태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이 외에 무릎을 가리기 위해 달았던 폐슬은 왼쪽에 고정되어 달렸으며, 흰 베로 만들어 목에 걸었던 방심곡령은 가슴 위에 드리웠다.
제복 중요민속자료6-6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병기(1818∼1875)와 그의 부인 송씨, 그리고 아들 김용규와 손자 김승진의 유품들과 함께 발견된 배자이다. 배자란 저고리 위에 덧입는 조끼 모양의 옷을 말하는데, 이 배자는 청색 무명 땀받이이다. 웃옷의 속옷으로 입었는데 양옆이 모두 트여있고, 고리로서 품을 조절하였다.
대례복(남) 중요민속자료6-7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대례복(여) 중요민속자료6-8호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
---|
'안동 김씨 > 贊成公(達行) 가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암 김병시[蓉庵 金炳始] 할아버지 (0) | 2009.09.02 |
---|---|
사영 김병기 할아버지 (0) | 2009.09.01 |
효정공 김병지[孝貞公 金炳地] 할아버지 (0) | 2009.08.31 |
유관(游觀) 김흥근 조상님 (0) | 2009.08.31 |
의석 김응근(宜石 金應根) 할아버지 (0) | 2009.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