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편지

김좌근(金左根)이 김유근(金逌根)에게 보낸 편지 1

추읍산 2010. 1. 27. 15:12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79  

 

 

41 × 32

-----------------------------------------

 

도록 p309

25. 김좌근(金左根)이 김유근(金逌根)에게 보낸 편지 1    (1821. 2. 10)


福不審日來春暢  氣體侯若何  伏慕區區無任  舍弟慈主體內一安 伏幸萬萬

복불심일래춘창  기체후약하  복모구구무임  사제자주체내일안 복행만만


而晬辰隔夜  兄主不得陪過  伏悵耳  叔母主行次後  諸節一樣康往耶 

이수진격야  형주불득배과  복창이  숙모주행차후  제절일양강왕야 


數舍之地  未卽拜謁  伏切悵慕  餘不姑不備達 

수사지지  미즉배알  복절창모  여불고불비달


辛巳二月十日  舍弟  左根  上書

신사이월십일  사제  좌근  상서


요즘 봄날씨가 화창한데 안부가 어떠하신지 모르겠습니다. 그리움은 견딜수가 없습니다. 저는 어머니가 한결같이 평안하시어 매우 다행입니다. 하룻밤만 지나면 생신인데 형님께서 함께 지낼 수 없으니 슬플 뿐입니다. 숙모님은 행차 후 여전히 건강하십니까? 몇 사(舍)14)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인데 즉시 가서 인사드릴 수 없으니 슬픔과 그리움이 간절합니다. 나머지는 이만 줄입니다.


1821년 2월 10일 사제(舍弟) 좌근(左根) 올림

----------------------------------------

 

14) 사(舍) : 사(舍)는 30 리(里)이다.

 

-----------------------------------------------------------------

 

필자(추읍산)가 쓰는 글


1821년은 김좌근이 25세이고 아직 출사(出仕)이전이라 집에 계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큰 형님, 김유근은 37세로 1820년(순조 20으로, 道光 원년) 10월의 교지를 보면 가선대부 행용양위호군(嘉善大夫 行龍驤衛護軍) 으로 있었다. 이때 김유근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어느 곳에 나가 계신 걸까? 어디에 계시기에 생모(生母, 청송심씨)의 생신에 참석 못하시는 걸까?


우리는 TV 드라마와 여러 매체를 통해서 김좌근(金左根 1797~1869)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분은 영안 부원군 김조순(金祖淳 1765~1832)과 청양부부인 청송심씨 사이에서 1797년에 3남으로 태어났습니다. 1825년(순조 25) 6품 직에 조용 되기도 하였으나 조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것은 부친 김조순이 1832년 별세하시고 나서 그 6년 후인 1838년 과거급제 이후부터 입니다.


이때(1838년으로 헌종 4)는 두 분 부모님과 둘째 형인 김원근(金元根 1786~1832, 부친 김조순과 같은 해에 운명(殞命)하셨다.)도 별세하셨고 큰 형님, 김유근(金逌根 1785~1840)은 중환으로 실어증까지 겹쳐 누워 있을 때입니다. 1840년(헌종 6) 큰형님 김유근마저 운명하셨습니다. 그리하여 가문(김조순의)의 어른으로서의 그 위치를 이어받으셨습니다. 그러나 아직 정치 초년생이고 44세(1840년으로 헌종 6)로 젊었기 때문에 6촌 형인 김홍근(金弘根,1788~1842)의 지도를 받았을 것입니다.


철종 대왕 재위기간(1849~1863)에 안동김씨 세도정치 그 중심에 서신 할아버지는 김문근(金汶根 1801~1863)과 함께 철옹성 같은 안동김씨 세도권력을 구축했습니다. 그분의 권력장악은 1863년 12월 고종 즉위 직전까지 이어졌으며 애첩 나합으로 말미암아 생긴 여러 부정적인 이야기는 큰 오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처럼 안동김씨 일문으로 집중된 권력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며 이는 여러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습니다. 필자는 이에 대하여 후손으로서(찬성공 김달행의 종손으로서 ) 머리 숙여 깊이 사죄드리고 나아갈 길을 밝힌 바 있습니다. 본 블로그의 [문정공파, 직계조상님] 편의 2차 안동김씨 세도정치 편 참조


 또한, 본 블로그 [문정공파, 贊成公의 후예]편 에서 하옥 김좌근 할아버지께 드립니다. 라는, 제목으로 글을 썼습니다. 그러면 김좌근은 어떤 분인가 이를 민족문화대백과와 워키백과로 안내합니다.


한국 민족문화대백과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64643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A%B9%80%EC%A2%8C%EA%B7%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