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김씨/직계조상님

[스크랩] 金 濟謙 김제겸의 告 亡子 墓文

추읍산 2011. 2. 10. 11:44

告 亡子 墓文----------

                                                     金 濟謙

                                                                                                  (1680~1722)

                                                                                                 자는 필형(必亨). 호는 죽취(竹醉).

                                                                                               문집 《죽취고》

                                                                                                편서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신임사화 때 죽은 삼학사(三學士)

                                                                                                 <조성복(趙聖復)·김민택(金民澤)>

                                                                                                     진사.고양군수.예조참의·승지

                                                                                                     좌찬성에 추증

                                                                         ☛ 5 13 일 죽취일에 태어나셔서 아호를 竹醉로 삼았다.

                                                                                                      옮긴이: 문곡의 후손 김 창현

 

Tip--------------------------------------------------

             한 집안의 불행이 이럴 수가

1, 조부 文谷 김수항(金壽恒) 1629년-1689년

己巳換局 진도 유배 윤3월 28일, 賜死의 명. 1689 년 4. 9일 珍島 賜死

2. 장자 夢窩 김창집(金昌集) 1648년-1722년

辛壬士禍 1721년 12 월 巨濟로 유배 1722년 4월 29일 성주(星州) 요도(蓼島)에서 사사(賜死)

3. 손자 竹醉 김제겸(金濟謙) 1680년~1722년 <5 월 13 일 죽취일에 탄생>

辛壬士禍 1721년 12 월 蔚山으로 유배. 적소인 부령 富寧에서 1722년 8월 24일

사사(賜死)

4. 증손자 翠栢軒 김성행(金省行)1696년-1722년

辛壬士禍 1722 년 5 월 19 일 경 옥중에서 장사 杖死

                                                            四代不遷之位 四代忠臣 一廟四忠의 가문이라

--------------------------------------------------------------------

 

 

---------------------------------------------------

墓文 묘지(墓地)나 묘표에 쓴 글 로 1722 년 큰 아드님 省行의 杖死 소식을 듣고 유배지 울산에서 함경도 부령 땅으로 가는 도중 잠시 아들 묘지에 들러 쓴 만사 같은 성격의 묘지문이다. 문집 <죽취고>에 실림.

辛壬士禍의 역사적인 비극이 담겨 있다.

--------------------------------------------------------------------

維歲次 壬寅 六月 甲寅 朔

初 七日 庚申

父 告 亡子省行 之墓

哀哉 我兒賢哉 我兒汝能

先人 是隨視 此頑然可樂不悲

吾今北遷死生未期 瀝酒墓草

哀不能詞鳴呼 我兒其永寧斯 尙享

읽기

유세차 임인 육월 갑인 삭

초 칠일 경신

부 고 망자성행지묘

애재 아아현재 아아여능

선인 시수시 차완연가락불비

오금북천사생미기 역주묘초

애불능사명호 아아기영녕사 상향

--------------------------------------

국역

유세차 1722 임인 년 六 월 갑인 달 초 7 일 경신 날에

아버지는 죽은 아들 성행의 묘 앞에서 고하노라.

슬프구나. 나의 아들은 어질었도다. 나의 아들 너는 능히 목숨을

바쳤구나.

돌아가신 아버님을 보고 이를 따랐으니 이 완고한 마음은 즐거울 뿐

슬프지 않구나.

나는 지금 북쪽으로 옮겨 가니 죽고 사는 것을 기약할 수 없어

너의 무덤 풀밭에 술을 뿌리도다.

이 슬픔 말로 다할 수 없으니 아 울고 싶구나.

나의 아들 성행 아 성행 아 오래도록 편안하여라. 흠향하소서.

--------------------------------------

金 濟謙 의 집안 족보 기록 82 년 壬戌譜 기록

조선 후기의 문신(1680~1722).

1.字 必亨 號 竹醉 有遺稿 附夢窩集編末

<자는 필형, 아호는 죽취. 문집은 죽취고가 있는데 아버님이 되시는 몽와 김창협의 문집인 몽와집 말미에 부록으로 편집되어 있다.>

2.肅宗庚申五月 十三日生 乙酉進士 己亥文科右副承旨

< 숙종 6년 경신 1680년 5 월 13 일생. 을유 년 1705년에 진사. 기해년 1719년에 문과 우부승지 벼슬을 하시다.>

3. 壬寅遭凶黨誣啓謫富寧八月二十四日賜死

以建儲首相之子有奇氣最忌之也

< 임인 년 1722년 경종 2년에 흉당들의 무계誣啓(임금을 속여 알림)를 만나 함경도 부령으로 귀양을 갔고, 그 곳에서 8 월 24 일 사사되었다.>

건저建儲( 왕세자(王世子)를 세우는 것)를 한 영의정의 손자로 사람들이 가장 꺼려하는. 특이한 기상이 있었다.>

4.及伸寃贈贊成諡忠愍事君盡節曰 忠在國逢艱曰愍命不祧

< 그리고 신원伸寃(원통(寃痛)한 일을 풀어 버림)이 되었고, 찬성이라는 벼슬을 주었다. 시호는 충민 공으로 임금을 섬기는 데 절의를 다했기에 말하기를 忠이라 했고,, 나라가 어려움을 만났을 때 근심하고 힘을 썼기에 말하기를 愍이라고 하였다. 나라에서 不祧之典부조지전(나라에 큰 공훈(功勳)이 있는 사람의 신주(神主)를 영구히 사당(祠堂)에서 제사지내게 하는 특전(特典))의 명을 내렸다..>

5. 配 贈貞敬夫人恩津宋氏 己未生壬子 十二月二十七日卒

父都事炳遠祖正郞光烒曾祖 文正公浚吉 外祖 掌令 李逈 本完山

< 부인은 증 정경부인 은진 송씨로 기미년(1679년 숙종 5 년)에 태어나고 임자년 (1732년 영조8년)12 월 27 일에 졸하다.>

<부는 도사인 병원이고 조는 정랑인 광식이며 증조는 문정공 준길<(1606~1672.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이며, 외조는 장령 이형이다. 관향은 완산이다.>

6. 墓 忠獻公兆巽 坐合窆 男 元行撰表

< 산소는 아버님 되시는 충헌공 (< 몽와 金昌集1648∼1722))자는 여성(汝成), 호는 몽와(夢窩)>) 묘자리의 동남쪽에 합장하였다. 아들 원행이 묘표를 짓다>

여주군 대신면 초현리에 위치함- 몽와- 죽취- 취백헌- 이장--- 4 대 산소

--------------------------------------------------------------------

 

20세 성행 조상님의 산소

  부친님이 되시는 죽취공의 산소

오랜 세월 흘러가도  4대 충절 영원하여라. 저 늘 푸른 나무처럼

                                                ◉ 金濟謙의 후손

               判官公 係權派 文正公 尙憲派 후손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다시 보쟈 漢江水(한강수)야.

                                      古國山川(고국 산천)을 떠나고쟈 하랴마는,

                                       時節(시절)이 하 殊常(수상)하니 올동말동하여라.

-------------------------------------------------------------

    15세 尙憲- 16세 光燦-17세 壽恒(3)-18세 昌集-19세 濟謙-

    20세 省行

----------------------------------------------

5 월 13 일 죽취일에 탄생하시와 竹醉라는 아호를 작명하신

竹醉公 濟謙 조상님은 자녀를 6 남 2 녀의 자녀를 두시었다.

이름

자. 아호

생 몰

부인 생몰

부인 관향

자녀

省行

취백헌

1696-1722

1697-1734

풍산홍씨

1 남 1 녀

峻行

자 德中

1701-1743

1701-1778

풍산홍씨

5 남 1 녀

元行

渼 湖

1702-1772

1702-1767

남양홍씨

2 남 2 녀

達行

脩 甫

1706-1738

1706-1747

한산이씨

3 남 2 녀

坦行

여락헌

1714-1774

1713-1767

청주한씨

3 남 1 녀

偉行

자 幼繩

1720-1752

1719-1783

남양홍씨

1 남 1 녀

竹醉 公 조상님이 쓰신 시 한 편 감상-----------

玉流洞 辛卯(1711년 숙종 37년 32세)

深深溯不 깊디깊은 계곡 산길 끝없이 올라가니

山冥猶自耀丹어둔 산엔 오히려 단풍 색깔 빛이 나네.

蒼茫內院知何在 정원이 아득해도 어딘가를 알겠구나.

鐘磬聲從積翠아늑한 종경 소리 푸른 숲에 쌓여라.

---------------------------------------------------

省行 ①

자 사삼(士三) 호 취백헌(翠栢軒). 시호 충정공(忠正公)

1696년(숙종 병자) 12 월 10 일생-1722년(경종 임인)5월 19일 경. 향년 27 세

부인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풍산홍씨(豐山洪氏)

1697년( 숙종 정축)-1734년( 영조 갑인) 2 월 24 일

부사(府使) 중연(重衍) 판서(判書)만용(萬容) 증조 영안위(永安尉)주원(柱元) 외조 좌윤(左尹) 김석익(金錫翼) 본(本) 청풍(淸風)

산소 부 충민공(忠愍公) 濟謙 산소 바로 아래( 兆次 손坐) 合窆 誌 竹醉府君 撰 仍爲 表石 陰記 幷書 前面.

자녀 :1 남 1 녀

履長( 21 세) -- 女 鄭 麟煥( 延日人)

--------------------------------------------

◀ 후손

長-復-泳-駿-文-禎-益-瓚-珠(62년임인생)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 1837(헌종 3)~1878(고종 15)

조선 제 25대 임금 철종(哲宗1831-1863년,재위: 1849-1863년)의 왕비이다. 영은 부원군 김문근(金汶根)의 따님이시다. 능은 예릉(睿陵)이고,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에 있다. 서삼릉중의 하나이다.

김문근(金汶根) 1801(순조 1)∼1863(철종 14). 제 이차 세도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노부(魯夫). 철종의 장인이다

생부는 麟淳(인순)으로 이순(頤淳)댁에 양자로 입적.

성행의 아드님이신 이장은 復淳1- 泰淳2- 麟淳3- 頤淳4의 네 아드님을 두셨으며 麟淳3은 종숙 履直으로 양자 입적 履直은 원행의 둘째 아드님이시며 履直은- 麟淳- 浚根1 洙根2 汶根3으로 이어져갔다.

------------------------------------------------------

임인 사화로 비극적인 죽음을 당하시다. 족보에는 다음처럼 묘사 하였다.

景宗 壬寅 被 睦虎龍 變書 委官 欲得誣供爲動搖國本計及就訊囑府卒堅係其髮於後恐其不勝杖而首或少動則歸之承款也 脛骨盡

碎氣息將絶終不易辭是以儲位獲安五月十九日竟 死獄中

英祖乙巳伸雪屢贈至上相諡忠正危身奉上曰忠以正服之曰正特命不祧御書廟額曰一廟 四忠.

한자읽기---------------------------

경종임인 피 목호룡 변서위관 욕득무공위동요국본계급취신촉부졸견계기

발어후공기불승장이수혹소동즉귀지승관야 경골진쇄기식장절종불역사시이저위획안오월십구일경 사옥중

영조을사신설루증지상상시충정위신봉상왈충이정복지왈정특명부조어서묘액왈 일묘사충.

국역-------------------------------------------------

경종 시대 임인 년( 1722 년) 목호룡의 변서를 당하여 위관( 재판장)이 거짓으로 꾸며대는 供招< 범죄사실의 진술>를 얻어 나라를 동요시키는 죄를 뒤집어씌우고자 하는 것으로 기본계략을 삼았는데 訊問< 말로 물어 진술>에 나아감에 이르러, 府卒에게 뒤에서 그의 머리를 단단히 매어 줄 것을 부탁하였는데, 그것은 그가 杖(몽둥이)을 못 이겨서 머리가 혹시 조금이라도 흔들리면 죄를 자백함에 머리가 돌아갈까 두려워서였다. 정강이뼈가 다 으스러지고 기운과 호흡이 끊어지려하여도 끝내 말을 쉽게 하지 않았다. 이러한 까닭에 왕세제의 지위를 온존하게 얻었다. 5 월 19 일 마침내 옥중에서 돌아가셨다.

영조 을사 년<1725년>에 伸寃<원통(寃痛)한 일을 풀어 버림> 되었고, 거듭 追賜<죽은 뒤에 추가(追加)하여 하사(下賜)함>되어 재상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정이니 자신을 위태롭게하면서도 임금을 받들었기에 말하기를 이라하고 정직으로 복종하였기에 말하기를 이라 하였다. 왕이 특명을 내렸으나 祧遷<종묘 본전 안의 위패를 그 안의 다른 사당인 영녕전으로 옮겨 모시던 일>되지 않았다. 임금이 사액한 묘액에 이르기를 일묘사충이라 하였다.< 현직교사이신 포항의 포상 선생님 번역 참조>

-------------------------------------------------------

峻行 ②--- 季父 好謙 出

壽增-昌肅-好謙 생부 濟謙

☞: ∙ 문곡의 큰 형님 곡운 壽增 댁의 둘째아드님이신 昌肅댁에 濟 謙의 동생인 好謙 댁으로 양자를 가시다.

∙ 好謙과 濟謙은 형제지간이시다.

-------------------------

자 덕중(德中)

1701년(숙종 신사) 7 월 28일-1743년(영조 계해) 4 월 25일

향년 43 세

음(蔭)내시교관 (內侍敎官) 不就 증(贈) 이판(吏判)

부인 증 정부인(贈貞夫人) 풍산 홍씨(豐山洪氏)

1701년( 숙종 신사)- 1778년( 정조 무술) 10 월 12 일

판(蔭參判) 중주(重疇) 판서(判書) 만용(萬容) 증조 영안위(永安 尉)주원(柱元) 외조 현감(縣監) 조시구(趙時久) 풍양(豐壤)

부인은 省行 부인과 형제간임

산소 先兆 下乙坐

자녀: 5 남 1 녀

履信(21세) 履獻 履運 履顯 履鍊 女 申光益 (平山人)

---------------------------------------------

◀ 후손

信-文-鼎-箕-聖-台-朝-五-茂(43년계미생)

獻- 正-重- 右-洪-德-吉

運-來-性-軾-正-允-九

顯-初-命- 直-晉-璿-日-辰

鍊-劼-眞-炳-正- 長

---------------------------------------------

元行 ③ 從叔 崇謙 出

壽恒-昌協②- 崇謙- 元行

생부 濟謙이요,당숙인 숭겸(崇謙)댁에 입양되어 창협(昌協)의 손자

자 백춘(伯春) 아호 미호(渼湖) 문집 渼湖集

1702년(숙종 임오)12월19일~1772년(영조 임진)7 월 7일

향년 71세

1719년己亥진사(進士) 선경연관(選經筵官) 공의(公議)겸 제주(祭酒)찬선(贊善) 특증(特贈) 이판(吏判) 시호 문경(文敬)

道德 博文 曰夙夜 儆戒 曰

도덕과 학문이 넓어 말하기를이라 했고,

밤낮으로 항상 조심하고 가다듬는다고 하여 말하기를 경이라고 하였다.'

부인 증정부인(贈貞夫人) 남양홍씨(南陽洪氏)

1702년(숙종 임오)-1767년 (영조 정해) 1 월 19 일

진사(進士) 증이참(贈吏叅) 구조(龜祚) 참판(參判) 숙(橚) 증조

증이참(贈吏叅) 성원(聖元) 외조 생원(生員) 이형(李泂) 완산(完山)

산소 楊州 陶山 艮坐 合窆 有表< 간좌- 북동쪽>

필자가 몇 년 전부터 찾고 있으나 현재는 알 수 없음. 질문을 해 오신 분이 많았음

자녀 2 남 2 녀

履安 履直 女 徐逈修( 달성인) 女 洪樂舜( 풍산인)

----------------------------------------

낙론(洛論)의 학자. 理氣의 바탕을 둠. 정신적 학문의 산실인 석실서원을 이끌어감. 장남인 三山齋 履安은 주자학에 바탕을 둔 학자.

신임사화의 아픈 비극 때문에 벼슬을 모두 버림.

덕소 앞의 한강은 아직도 사람들이 미호강이라고 이름을 기억하고 있다.

---------------------------------------------

◀ 후손

安-鳳-浩-雲-衡-成-興-瑞( 37 년 정축생)

直-麟-浚-學-昇-宇-正

--------------------------------------

渼湖 님의 시 한 편

寒雨 한우 찬비--------

寒雨落高柳。 차운 비는 버들을 적시게 하고

聲亂入池。 샘물소리 연못가를 휘저어 놓네.

山家無久。 산집엔 오래도록 술이 없는데

空令菊花衰。 부질없이 국화꽃 시들게 하네.

--------------------------------

穫豆 확두--- 삼산재 김이안

日落柴門烟氣昬 해 지자 사립문엔 저녁연기 어둑하고

田家穫豆夜喧喧 시골 마당 콩을 터는 어둔 밤 시끄럽네.

兒童笑報西峰白 아이들은 봉우리 밝아졌다 깔깔대니

知是遙林月出痕 먼 숲속에 달이 뜬 흔적임을 알겠구나.

------------------------------------------

------------------------------------------

達行 ④

서열로는 제겸의 넷째 아드님이시지만 앞의 두 형제분들이 양가로 나 가심에 둘째 집안이 되었음.

-------------------------------------------------------

자 수보(脩甫)

吾從弟修甫姓金名達行

출전<渼湖集卷之十五墓誌銘從弟修甫墓誌銘 幷序 에서> 脩를修로 표기 修는 간체자라고 하며 의미는 같은 자이다.

1706년(숙종 병술)11 월 11 일-1738년( 영조 무오) 6월 29 일 향년 33 세

渼湖集卷之十五 墓誌銘에는 12 월 11 일로 표기 하였고,

<君以丙戌十二月十一日生。戊午六月二十九日死。死時年三十三。>

김조순의 墓表 기록에도 <府君 以肅宗 丙戌 十二月十一日生>라고 기록이 된 것으로 보아 족보의 기록이 잘못된 것 같다.

족보의1706년(숙종 병술)11 월 11 일은 당연히 수정이 되어야 한 다.<12 11> <11 11>의 숫자 착각인 것 같다.

증 좌찬성(贈左贊成)

부인 증 정경부인 (贈貞敬夫人) 한산 이씨(韓山李氏)

1706년(숙종 병술)-1747년 (영조 정묘) 10 월 9 일

감사(監司) 준(準) 군수(郡守) 정룡(廷龍) 증조 문부사재(文府使穧) 외조 참판(叅判) 유헌(兪禾+憲) 본 기계(杞溪)

산소 驪州 介軍面 香里 亥坐 合窆 誌 兄 渼湖公

表 孫男 祖淳( 達行의 둘째 아드님이신 履中의 장자) 撰.

櫶 나무이름 헌 攇 비길 헌 족보에는 <禾+憲> 으로 나옴, 혹시 잘못 기재되지 않았을까. 이런 글자가 나오지 않음< 木과 禾의 혼돈>

亥坐 정북에서 서쪽 방향.

자녀 3 남 2 녀

履基 履中 履慶 女 李得祥 ( 完山人)女 宋 載緯( 恩津人)

--------------------------------------------

孫男 祖淳의 墓表 기록에는 다음처럼 기록이 되어 있다.

<출전:王考 贈 左贊成 府君 墓表 楓皐集 卷 之十二에서>

始 葬 驪州 草峴里 先塋之次。丁卯。移奉于其北十餘里趨揖山下香谷里坐亥之原。夫人李氏祔焉。夫人 氏韓山牧隱先生之裔。監司諱潗之女。< 미호공의 묘지명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

국역

< 처음에는 여주군 초현리 선영의 발치에 장례를 하였다.< 초현리에서 추읍산이 직선으로 바라보이며 이곳에는 몽와 昌集 죽취 濟謙 취백헌 省行과 그 아드님이신 長卿 履長이 묻혀 있는 곳이다>

丁卯년에 (1747년 부인이 돌아가신 해) 그 북쪽 십 여리 거리인 추읍산아래 향곡리 서쪽 방향의 언덕에 받들어 옮기었다. 부인 이씨와 합장을 하였다. 부인 이씨는 한산으로 목은 선생의 후예이며 감사인 諱潗휘집의 따님이시다. 번역 문곡의 12 대 후손 김창현>

원본에도 夫人氏 라고 기록이 되어 있다 李 자 글자 하나가 누락이 되지 않았을까

---------------------------------------------

달행의 성품 기록

以戊午六月二十九日卒。享年纔三十有三。嗚呼寃矣。

於是府君之第三兄文敬公渼湖先生誌其葬曰。

君生而有俊氣。見人之回互齷齪。欲唾其面。性通曉於事物。

技能鮮有滯礙。而其材力精敏強榦。

又足以濟之。故知者皆以君爲有用也。君旣早以家禍自廢。

平居不甚讀書。<渼湖集卷之十五 墓誌銘에서>

국역 ----------------------------------------

무오 년1738년( 영조14년 무오) 6 월 29 일에 돌아가시니 향년은 겨우 33 세이셨다. 아아 억울하고 원통하도다.

그 당시 돌아가신 할아버님의 셋째 형< 4 년 차이의 바로 위의 형. 양가 입적>인 미호공 원행 선생께선 그 묘지에서 말하기를

“그대는 태어나면서 빼어난 모습이었고, 악착스럽게 사소한 일에 끈기 있고 모진 사람을 보면은 그 얼굴에 침을 뱉으려고 하였고, 사물에는 본성이 통하고 있음을 깨달았고,

기술상의 재능은 막힘이 드물어서 그 재주와 힘은 정밀하고 민첩하며 줄기가 강하였다.

또한 성취하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그러므로 그를 아는 사람들은 모두다 그대를 유용한 사람이라고 말하였다. 그대는 이미 일찍부터 집안의 화를 알고 스스로 배움을 그만 두었고, 평소에도 그다지 독서는 하지 않았다.„

-----------------------------------------------

1722 년 겪은 辛壬士禍의 비극이 17 세 소년의 가슴에 아픈 상처가 된 듯하다. 生而飮恨。不如死而從先人 <살아서 한을 씹기 보다는 차라리 죽어서 선인들을 따르는 것이 낫다>는 심정이셨으니 그 가슴 아픈 슬픔이 오죽하였을까, 저절로 숙연해지는 느낌이다. 역사는 이런 비극만을 창출하는 것인가.

渼湖集卷之十五 墓誌銘 從弟修甫墓誌銘 幷序 의 기록

旣死之越 三月二十九日。葬于驪州草峴之卯坐原。

夢窩竹醉公之兆次也。生而飮恨。不如死而從先人于地下。此猶足以爲樂歟。君娶黃海監司韓山李公諱潗之

앞에서 본 것처럼 처음의 산소는 분명히 초현리에 모신 것 같다.

다음에서 처럼 조순(祖淳) 조상님의 기록에는 여주 초현리에서 추읍산 향리곡으로 받들어 모실 때의 기록인데 비하여

<始 葬 驪州 草峴里 先塋之次。丁卯。移奉于其北十餘里趨揖山>

윗글 미호공의 기록에는 처음 여주 초현리로 장사지낼 때의 기록 인 것 같다.

국역--------------------------------------

1738년( 영조 무오) 6월 29 일 돌아가신 후 그 다음 해 (=越)

< 1739 년> 3 월 29 일에 여주군 초현리 동쪽 방향의 언덕에 장례를 하였다. 몽와 김창집 죽취 김제겸의 발치에 장례를 하였다. 살아서 한을 씹게 하는 것 보다는 죽어서 지하에 계신 선인들을 따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니, 이것이 오히려 즐겁게 해준 것 같아 만족하였다. 동생은 황해감사 한산 이공 휘집諱潗 댁에 장가를 갔다.

-----------------------------------------------

그의 바로 위 형님 元行墓誌銘에서 다음처럼 기록하고 있다.

元行抆涕而爲之銘曰。

驪水之北。牛山之陽。有負才俊。

抱寃恨而埋者。是吾弟修甫之藏。

嗚呼千秋萬歲兮。無或以畊犂見傷耶。

<渼湖集卷之十五 墓誌銘 從弟修甫墓誌銘 幷序에서>

원행은 눈물을 멈추고 다음처럼 새기노라.

여주 강물 북쪽이여, 우산의 양지쪽이여

너는 재주 있었고 풍채도 뛰어났었구나.

원통한 가슴 속 한 품고 묻혔도다.

여기에 내 동생 수보가 숨어 있구나.

아! 슬프도다. 천 년 만년이로다.

혹시나 농부들이 보고 아픔이 없겠느냐.

------------------------------------------

◀ 후손

基-龍-逌根- 㴤-定-翼-朝-澈

中--元-地- 圭-善-定-炯( 51년 신묘 생)

慶-明-弘-溎-性-國-稷- 箕-武

--------------------------------------

達行의 후손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분들이 계시다.

純元肅皇后 김씨 ( 1789년~1857년)

조선 제 23대 왕 순조(純祖)의 정비(正妃)이자 익종(효명세자, 翼宗)의 어머니이며 헌종(憲宗)의 할머니

김조순(金祖淳) (1765년~1832년) 제 일차 세도정치

자 사원(士源), 호는 풍고(楓皐). 영의정 창집(昌集)의 4대 손

문집 楓皐集

김유근(金逌根) (1785년~1840년 )황산유고 (黃山遺稿)

김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 ) 하옥유고(荷屋遺稿)

김병기(金炳冀) (1818년~1875년) 사영(思穎) 詩文 鈔

-----------------------------------------------------

坦 行 ⑤

자 숙평(叔平) 아호 여락헌(余樂軒)

1714년(숙종 갑오)4 월 18 일- 1774년(영조 갑오) 5월 2 일 향년 61세

음 통정(蔭通政) 남원부사(南原府使) 증 영상(贈領相)

부인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청주한씨 (淸州韓氏)

1713년(숙종 계사)-1767년(영조 정해) 11 월 5 일

백증(百增) 감사(監司) 중희(重熙) 증조 첨지(僉知) 빈(彬)

외조 황수하(黃受河) 본(本) 창원(昌原)

산소 원주(原州) 사제면(沙堤面) 지사리(芝沙里) 을좌(乙坐)합폄(合窆) 표(表)종자(從子) 이안(履安)撰 음기(陰記) 男 이도(履度)書

자녀 3 남 1 녀

履素 履裕 履度 女 洪大黙( 南陽人)

◀ 후손

素-芝--潗- 甲-魯-龍- 潤( 43 년 계미생)

裕-蘭-愼-老- 商- 範 -敬- 秀- 大( 39 년 기묘생)

度-鴻-輔-健- 成- 序- 杓 ( 1929 기사 생)

-------------------------------------

김조근(金祖根) (1793~1844)

자는 백술(伯述). 호는 자오(紫塢).

딸이 헌종의 비로 책봉되자 벼슬이 영돈령부사에 올랐다. 따님이 24 대 헌종의 비로 책봉이 되다.

효현성황후(孝顯成皇后)1828(순조 28)~1843(헌종 9).

조선 제24대 왕 헌종의 비(妃).

1837년(헌종 3) 왕비에 책봉되었고, 1841년 가례(嘉禮)를 올렸으나 2년 만에 요절했다. 휘호는 경혜(敬惠)·정순(靖順)이며, 그 뒤에 단성(端聖)·수원(粹元)의 존호가 더해졌다. 능은 경릉(景陵)으로 경기도 남양주에 있다.

---------------------------------------------

偉行 ⑥

구 휘(舊諱) 조행(朝行)

자 유승(幼繩)

1720년 (숙종 경자) 3 월 3 일-1752년 (영조 임신) 10 월 30 일 향년 33 세

부인 남양 홍씨 (南陽 洪氏)

1719년(숙종 기해)-1783년(정조 계묘) 11 월 28 일

도정(都正) 저(樗) 진사(進士) 인조(麟祚) 증조 참판(叅判) 용(墉) 용= <王+庸>의 합성자가 없어 혹시 오기가 아닐까 해서 용 으로 표기.

외조 군수(郡守) 한 배후(韓配厚) 본(本) 청주(淸州)

산소 포천(抱川) 외북면(外北面) 국곡(國谷)사좌(巳坐) 합폄(合窆) 지(誌) 종자(從子) 이안(履安)찬(撰)

자녀 1 남 1 녀

履完 女 홍락현(洪樂賢)( 豐山人)

◀ 후손

完- 宗- 厚- 贊- 命-應- 英- 雲- 宗

< 39 기묘생>

 

 

  일묘사충의 사당을 따라 오르면 몽와, 죽취, 취백헌. 장경 이장 조상님즐의 산소가 줄지어  있다. 여주군 대신면 초현리

 사당 앞 일묘사충의 글씨는 김응현 서예가의 글씨.

출처 : 백촌거사와 함께하는 한시여행
글쓴이 : 백촌거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