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서둔촌(西屯村)에서

추읍산 2009. 11. 18. 22:38

서둔촌(西屯村)16)에서

 

김유근(金根 1785~1840)


公利入人不見痕  공리입인불결흔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도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니

大堤截野己生根  대제절야기생근    큰 둑은 들판을 끊고 이미 뿌리를 내렸네

古陂水暖行魚子  고피수난행어자    옛둑엔 물 따스해 낚시꾼 다니고

荒묘秋晴長稻孫  황묘추청장도손    맑은 가을 거친 들판엔 도손(稻孫)17)이 자라네

 

久覺閭閻歌帝力  구각려염가제력    여염에서는 오래 전부터 임금의 능력을 칭송하고

老知草木戴君恩  노지초목대군은     나무와 풀도 임금의 은혜 떠받듦을 알겠네

鼎湖此日龍飛遠  정호차일용비원    정호(鼎湖)에서 오늘 용이 멀리 날아간다고18)

宮樹啾啾暮雀喧  궁수추추모작훤    궁의 나무에서 저물녘 참새들 짹짹 소란을 떠네


-------------------------------------

16) 서둔촌(西屯村) : 화성 서쪽에 있는 마을 이름으로, 둔전(屯田)이 있기 때문에 서둔촌이라 했다. 정조가 화성을 축조할 때 서쪽에 축만제(祝萬堤)를 쌓아 방축(防築)이 있는 마을이라 해서 방축촌이라고도 불렀다.


17) 도손(稻孫) : 벼를 베어낸 후에 그 뿌리에서 다시 난 싹.


18)옛날 ..... 날라갔으니 : 정호는 전설상 황제(皇帝)가 용을 타고 하늘로 날라간 곳인데, 제왕이나 제왕의 죽음을 비유한다. <"사기(史記)" 28 "봉선서(封禪書)" >

-----------------------------------

 

옮긴이의 글


김유근이 화성 유수로 재직 중인 1827년(순조 27) 음 9월(지금의 10월) 중순경으로 생각한다. 하루는 화성 서쪽에 있는 서둔촌으로 나갔다. 축만제라는 저수지와 그 물로 농사를 짓는 서둔촌 들판의 모습을 살피기 위해서 일 것이다. 그곳은 둔전으로 관리되고 있었다. 축만제 뚝방위에서 바라보는 추수가 끝난 서둔촌의 가을 들판은 도손들이 자라나고 있었다.

 

지금도 추수한 가을 들녘에 나가보면 벼를 베어낸 자리에서 새싹이 자라는 모습을 볼 수가 있는데 그 광경을 바라보면서 가을의 땀 흘려 수확한 즐거움과 오늘의 삶이 순조 임금님께서 선정을 베푸신 은덕임을 칭송하고 있다. 그러면서 농민들의 땀방울이 어린 들판의 현장에서 농민에게 감사하고 어떻게 하는 것이 국리민복(國利民福)일까! 구상했을 것이다.

------------------------------------

 

서둔촌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둔전과 축만제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둔전(屯田) 

변경이나 군사 요지에 주둔한 군대의 군량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치한 토지. 군인이 직접 경작하는 경우와 농민에게 경작시켜 수확량의 일부를 거두어 가는 두 가지 경우가 있었다.

2 각 궁과 관아에 속한 토지. 관노비나 일반 농민이 경작하였으며, 소출의 일부를 거두어 경비를 충당하였다.

 

출처: :http://krdic.daum.net/dickr/contents.do?offset=A010938800&query1=A010938800#A010938800 

 

축만제

정조 23년(1799)에는 또하나의 제언, 축만제(祝萬堤)를 화성의 서쪽 5리의 평지에 축조한다. 축만제는 길이 1246척, 너비 720척, 높이 8척, 두께 7척 5푼, 깊이 7척이며 2개의 수문이 설치된 대교모 저수지로 이를 통해 농업용수의 혜택을 받는 전답은 232석락(石落, 섬지기)에 이른다. 축만제는 농업용 저수지 외에도 낙조(落照)와 잉어가 유명하였으며, 특히 잉어는 약용으로써 궁중에 진상(進上)되었다고 한다. 축만제도 만석거와 마찬가지로 관리 인원으로 감관(監官) 1명과 감고(監考) 1명을 두었다. 축만제는 후에 서호(西湖)로 개명되었고, 현재에도 화성 인근에서 가장 큰 저수지이다. 축만제의 남쪽에는 서호의 경관과 풍치를 한층 아름답고 돋보이게 하는 항미정(杭眉亭, 경기도 향토유적 제1호)이 있다. 항미정은 순조 31년(1831)에 당시의 화성유수 박기수(朴綺秀)공이 건립한 정자로, 석양에 비치는 서호 주위에 여기산(麗妓山) 그림자를 보고 읊은 서동파(蘇東坡)의 시 “서호는 항주(杭州)의 미(美)이니라”를 따서 지었다고 한다. 현재의 축만제에는 농업과학기술원의 행정 및 연구시설이 인접하여있고, 서울대학교 농생대 캠퍼스도 위치하여 한국농업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 :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ctionary_Id=10020428&mode=title&query=%C3%E0%B8%B8%C1%A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