夜枕見月 喜賦 야침견월 희부
밤에 누워 달을 보고 기쁜 마음으로 짓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猶聞屋角漏床床 유문옥각루상상 처마 끝에 낙숫물 소리 여전히 들리더니
忽見東林皓月光 홀견동림호월광 문득 동쪽 숲에 밝은 달 보이네
萬里無雲來宛轉 만리무운래완전 온 하늘 구름 없어 뚜렷하게 나타나
九天如水在中央 구천여수재중앙 물처럼 맑은 하늘 한 가운데 있네
裁成合璧娟娟凈 재성합벽연연정 재단하여 합벽(合璧)211) 되니 예쁘고 깨끗하며
碾就層氷寂寂凉 년취층빙적적량 갈아서 층층 얼음 되니 적막하고 서늘하네
四海今宵瞻仰意 사해금소첨앙의 세상사람 오늘 밤 달을 보는 마음은
淸輝幾日隔何方 청휘기일격하방 며칠 동안 맑은 광채 없었기 때문이지
-----------------------------------
211) 합벽(合璧) : 두 개의 반벽(半璧)을 붙여 하나의 원형으로 만든 것인데, 여기서는 보름달을 가리킨다.
'기증유물 도록 > 황산유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희궁(慶熙宮)을 지나며 비통한 마음을 이길 수 없어 삼가 시를 지어 마음 (0) | 2011.03.04 |
---|---|
을미년 여름 윤달에 청야(淸野) 신중지(申仲之)가 순흥(順興)에서 돌아와 (0) | 2011.03.04 |
병석에서 빗소리를 들어 우연히 시를 지어 번민을 기록하다 (0) | 2011.03.03 |
유백교(柳伯敎)에게 주다 (0) | 2011.03.02 |
완백(完伯)인 종제(從弟)가 백우선(白羽扇)을 보내주어 보내주어 시를 (0) | 201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