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천하 화성 답사, 첫 만남 팔달문 2013년, 3월 5일 10시, 주유천하 답사팀은 김천일 인솔자의 안내를 따라 수원역 5번 출구를 나와 수원 관광안내소 앞에서 회동하였다. 날씨는 따듯하고 맑아 날자 선택을 잘했다. 버스로 이동 팔달문 근처에서 하차하여 행궁 쪽으로 가다 첫 번째로 만난 문화유산이다. 버스로 지나친 적은 ..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3.06
영화와 드라마 속 현장, 공세리 성당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순교성지 위에 자리하고 있다. 1895년 6월에 프랑스 외방전교회 소속 드비드 신부에 의해 설립되었고 처음 15개의 공소를 거느려 아산군, 천안군, 공주군, 진천군을 관할하였다. 드비드 신부는 잠시 서울주교관으로 전속되기도 했으나 1897년 다시 주임 신부로 재..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3.03
맹씨행단(孟氏杏壇)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여기까지이다. 배방면 중리 마을은 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은데도 깊은 산골을 가는 느낌이다. 설명은 약하니 안내판을 참조하기 바란다. 고려 말 이군불사(二君不事)의 고결한 절개를 지키다 순절한 두문동 72현의 한 분인 상서공 맹유(尙書公 孟裕) 동..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3
외암리 민속마을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의 연속이다. 우리나라 마을의 일반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고, 잘 간직하고 있는 곳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아 더욱더 옛날로 돌아간 듯한 아산 송악면 외암리로 우리 여행을 떠나요. 조선 시대 중엽 명종(1534~1567) 때에 장사랑(將仕郞) 벼슬을 하던 이정(李廷..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3
아산만의 해군 퇴역 함정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의 연속이다. 공세리 성당을 나와 아산만에 도착했다. 그곳에는 퇴역한 해군 함정 두 척이 공개되어 잠시 시간을 내었다. 이광웅 씨와 동행하여 올랐는데 오밀조밀한 구조가 아! 이곳이 왕년엔 우리 해군 병사가 조국의 바다를 누비며 그 임무를 수행하였..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2
공세리 성당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점심 후 바로 찾았다. 공세리는 조선 시대 충청도 서남부인 아산, 서산, 한산, 청주, 옥천, 회인 등 40여 개 마을에서 거두어들인 세곡을 보관하던 창고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박해의 현장에 세워진 성당은 서해 아산만과 이웃하고 있다. 1895년 6월에 ..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2
윤보선 전 대통령 선영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연속으로 윤보선 전 대통령 선영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방에서 태어나셨다. 기를 받으려 함인가? 천영식 씨 윤보선 생가와 이웃한 곳으로 먼저 만나는 곳이다. 이곳에는 윤일선, 윤승구 가옥이 있고 모두 민속문화재로 지정 되어있다. 윤보선 묘역으로..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2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묘역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연속해서 올린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1545년 4월 28일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임진왜란 때 삼도수군통제사로 거북선을 만들어 옥포, 당포, 당항포, 한산도 앞 바다와 부산, 명랑, 고금도 해전에서 왜선 수 백 척과 왜병 수 만 명을 무찔러 나라와 겨례..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1
봉선 홍경사터 비갈(奉先 弘慶寺터 碑碣) 2013년 2월 20일은 새해 들어 주유천하 첫 답사로 충남 아산지역이 잡혔다. 약간 쌀쌀한 날씨로 어둠을 뚫고 집합지로 모여 버스에 오르니 이십여 분 앉아있어 새벽을 뚫고 답사하려는 진지한 모습이었다. 그간 만나지 못했던 벗들과 반갑게 인사하고 담소를 나누며 고속도로를 달려 도착..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1
삼계동 정자와 백사실 계곡 오늘 주유천하 번개답사로 이번 겨울 들어 세번 째다. 종로구 부암동의 서울미술관과 삼계동 정자(석파정) 그리고 근처 백사실 계곡을 찾기로 일정이 잡혀 오전 11시 경복궁역 1번 출구에서 회동하였다. 10명 정도로 시내버스로 부암동에서 하차하여 먼저 서울 미술관을 찾았다. 작년에 개..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