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 393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3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00 41×26 ------------------------------------------------------------------------- 도록 p324~325 46.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3 (미상년.12.9) 去月卄八後 更未聞信 悵鬱葛己 暄餘寒劇 近日慎節不至有添損 渾度均安 翰林 거월입팔후 갱미문신 창울갈..

또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에게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

又次前韻 奇呈灣尹令公 求和 우차전운 기정만윤영공 구화 또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에게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官樓睡起聞啼鳥 관루수기문제조 관청 누각에서 졸다 깨니 새는 지저귀는데 白日下堦春寂寂 백일하계춘적적 햇빛이 섬돌 밑을 비추는 ..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2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9 44×28 ----------------------------------------------------------------- 도록 p323~324 45.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2 (미상년. 5. 1) 比熱調節若何 承旨無擾往侍 伯道出何新劑耶 從之公私熏苦之狀 承旨似必詳陣 비열조절약하 승지무요왕시 백도출..

장난삼아 절구(絶句) 한 수를 지어 관기(官妓) 옥도(玉桃)에게 이별의 징표

戲題一絶 贈別官妓玉桃 희제일절 증별관기옥도 장난삼아 절구(絶句) 한 수를 지어 관기(官妓) 옥도(玉桃)에게 이별의 징표로 주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龍灣何處首重回 용만하처수중회 의주 어느 곳에 자주 고개 돌려 보는가 春日小桃花政開 춘일소도화정개 봄날 작은 복숭아..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1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8 45×28 ------------------------------------------------------------------------- 44.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1 此日調節如何 從七兒積月漸鑠之餘 竟生大病 自夜精神雖不至全無 不能起座 차일조절여하 종칠아적월점삭지여 경생대병 자야정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