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만에서 회포를 읊다 灣上咏懷 만상영회 용만에서 회포를 읊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人言灣府是邊城 인언만부시변성 사람들은 의주를 변방이라 하나 我似家鄕却有情 아사가향각유정 내겐 고향집 같아 도리어 정감이 드네 千里鶑花涵化育 천리형화함화육 천리에 꾀꼬리와 꽃은 화육(化育)에 젖..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12.25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91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 조선 후기 북학파의 사대가(四大家) 이덕무(李德懋) . 유득공(柳得恭) . 이서구(李書九) . 박제가(朴齊家) . 등의 시를 초록한 책. 필사본. 유득공의 숙부인 유금(柳琴)이 초선(初選)하여 편집하고, 청인(淸人) 이조원(李調元)과 ..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12.25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3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00 41×26 ------------------------------------------------------------------------- 도록 p324~325 46.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3 (미상년.12.9) 去月卄八後 更未聞信 悵鬱葛己 暄餘寒劇 近日慎節不至有添損 渾度均安 翰林 거월입팔후 갱미문신 창울갈..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0.12.24
또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에게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 又次前韻 奇呈灣尹令公 求和 우차전운 기정만윤영공 구화 또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에게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官樓睡起聞啼鳥 관루수기문제조 관청 누각에서 졸다 깨니 새는 지저귀는데 白日下堦春寂寂 백일하계춘적적 햇빛이 섬돌 밑을 비추는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12.24
예제(睿製) 도록 p190 예제(睿製)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지은 시를 모아 엮은 책, 필사본. 편사(編寫)한 사람은 누구인지 알 수 없다. <관물헌사영(觀物軒四詠)> <도수연사경(陶遂椽四景)>, <상림십경(上林十景)>, <부용정사경(芙蓉亭四景)> 등 궁궐 내의 계절에 따른 경치의 변화를 노래한 시..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12.24
금벽록(金碧錄) 도록 p189 금벽록(金碧錄) 송람(松嵐) 전홍관(全弘琯)이 지은 금강산 및 동해의 유람기. 필사본. 8권 2책. 송람 전홍관 영수(永叟) 저(著), 취병(翠屛) 김동립(金東岦) 치행(穉行) 비점(批點), 일당(日堂) 최재훈(崔在薰) 남순(南舜) 교정(校正), 창암(蒼岩) 김진철(金鎭喆) 중명(重明) 정간(精刊). 권두에는 공..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12.22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2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9 44×28 ----------------------------------------------------------------- 도록 p323~324 45.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2 (미상년. 5. 1) 比熱調節若何 承旨無擾往侍 伯道出何新劑耶 從之公私熏苦之狀 承旨似必詳陣 비열조절약하 승지무요왕시 백도출..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0.12.22
장난삼아 절구(絶句) 한 수를 지어 관기(官妓) 옥도(玉桃)에게 이별의 징표 戲題一絶 贈別官妓玉桃 희제일절 증별관기옥도 장난삼아 절구(絶句) 한 수를 지어 관기(官妓) 옥도(玉桃)에게 이별의 징표로 주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龍灣何處首重回 용만하처수중회 의주 어느 곳에 자주 고개 돌려 보는가 春日小桃花政開 춘일소도화정개 봄날 작은 복숭아..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12.22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1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8 45×28 ------------------------------------------------------------------------- 44. 김병덕(金炳德)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1 此日調節如何 從七兒積月漸鑠之餘 竟生大病 自夜精神雖不至全無 不能起座 차일조절여하 종칠아적월점삭지여 경생대병 자야정신수..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0.12.21
고동인(古東人) 초(秒)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88 고동인(古東人) 초(秒) 중국 및 한국의 고사(故事)를 소재로 한 칠언시(七言詩)를 모은 책.필사본. 작자 및 편사자는 알 수 없다.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