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金炳㴤)가 김정균(金定均)에게 보낸 편지 2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4 35 × 24 ------------------------------- 도록 p320 40. 김병주(金炳㴤)가 김정균()에게 보낸 편지 2 (1882, 8, 11) 再昨景華之來 見初八書矣 種植昨晩果入去 而元石又可何日下來乎 更問日來 재작경화지래 견초팔서의 종식작만과입거 이원석우가하일하래호 갱간일..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0.07.17
전도비평금옥연(全圖比評金玉緣)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84 전도비평금옥연(全圖比評金玉緣) 청(淸)의 조설근(曹雪芹, 1715?~1763?)이 지은 장편소설 인쇄본. 『금옥연(金玉緣)은 홍루몽(紅樓夢)' , 석두기(石頭記), "금릉십이채(金陵十二釵)"라고도 불린다. 금릉(金陵, 南京) 가(賈)씨 집안을 무대로,가보옥(賈寶玉)..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07.17
충민공 임경업 장군의 초상을 배알한 뒤에 시를 지어 용만의 여러 사람에게 謁林忠愍像 示灣上諸人 알임충민상 시만상제인 충민공 임경업 장군의 초상을 배알한 뒤에 시를 지어 용만의 여러 사람에게 보이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將軍名義冠吾東 장군명의관오동 장군의 명성과 의리 조선에 으뜸이니 百代流芳七士同 백대유방칠사동 영원히 이름 남긴 일곱..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06.17
김병주(金炳㴤)가 김정균(金定均)에게 보낸 편지 1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3 35 × 24 ------------------------------------------------------------------------- 도록 p319~320 39. 김병주(金炳㴤)가 김정균(金定均)에게 보낸 편지 1 (1882.8.7) 壽吉去付書 昨己見之乎 近履更如何 春直己交替否 吾大小眷率幷無故 而景華 수길거부서 작기견지호 근이갱여..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0.06.17
회도후삼국연의(繪圖後三國演義)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83 회도후삼국연의(繪圖後三國演義) 중국근대소설. 인쇄본. 1915년 상해(上海)의 광익서국(廣益書局)에서 발행한 것이다. 청대(淸代)에 쓰여진 소설인데 작자에 대해선 확실히 알려진 것이 없다. 서진(西晉) 말기 석주(石珠)와 유홍조(劉弘祖)가 연합하여 ..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06.17
白馬山城에서 선우(鮮于) 우승(郵丞)의 시에 차운하다. 白馬山城 次鮮于郵丞韻 백마산성 차 선우우승운 白馬山城에서 선우(鮮于) 우승(郵丞)80)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當關豈許萬夫開 당관기허만부개 관문을 지킴에 어찌 만 명의 적군을 용납하겠는가 鐵馬何年去不廻 철마하년거불회 철마(鐵馬)는 어느 해에 떠나 돌아..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06.03
광복지(光復誌)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82 광복지(光復誌) 중국근대소설. 인쇄본. 원제는 『수상신주광복지연의(繡像神州光復志演義)』이다. 이 책은 항현(杭縣) 심흥(沈興)이 짓고 청도관(聽濤館) 설암(雪菴)이란 사람이 짖(輯)하고 침수헌(枕漱軒) 일려(逸廬)란 사람이 교(校)한 것이다. 신해..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0.06.03
김성근(金聲根)의 편지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92 41 × 27 --------------------------------- 38. 김성근(金聲根)의 편지 (미상년. 4. 그믐) 도록 p318~319 頃有二書 幷己抵覽否 間雨俱有助於秧與麥矣 侍履卽辰安勝 渾眷均穩 靈山敎 경유이서 병기저람부 간우구유조어앙여맥의 시이즉진안승 혼권균온 령산교 官 間..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0.06.03
북장대(北將臺)에 올라 登北將臺등북장대 북장대(北將臺)79)에 올라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千疊危送百折灣 천첩위송백절만 천 겹 가파른 길 수없는 물굽이 위에 挿天雉堞是重關 삽천치첩시중관 성가퀴 하늘에 솟은 곳 바로 겹 관문 萍浮豆撤無名島 평부두철무명도 부평초인가, 콩이 뿌려진 듯 이름 없..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04.04
백마산성(白馬山城)에서 충민공(忠愍公) 장군의 초상을 배알하다 白馬山城 謁林忠愍像백마산성 알임충민상 백마산성(白馬山城)77)에서 충민공(忠愍公)78) 장군의 초상을 배알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使節乘淸暇 사절승청가 사절단 일행 여가를 틈타 聯登白馬城 연등백마성 나란히 백마산성에 올랐네 儲胥臨海迥 저서임해형 군영의 성곽은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0.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