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근 54

『한거감추집 서문』과 『청원각 시집』,『청랑간실시고 자서』

먼저 아랫글을 읽으십시오. 『한거감추집(閒居感秋集)』 서문(序文) 『청랑간실시고(靑琅玕室詩稿)』 자서(自序) --------------- 아랫글 발췌한 곳: http://mybox.happycampus.com/earticle/4447410 글쓴이: 계명대학교 김영진 교수 『한거감추집서』(踈山居士), 1804년 가을)로 시작하는 冊(분량 최..

이덕일의 역사 왜곡

제가 위와 같은 제목(이덕일의 역사 왜곡)으로 글을 올려서 저에 대하여 궁금하시죠. 저는 역사학자도 아니고 글 쓰는 문장가는 더욱 아닙니다. 평범한 사람일 뿐입니다. 저는 2006년 양평군에서 건설하는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에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물을 기증한 바 있습니다. 양평군에서는 2009년 말경 안동김씨 문정공파 기증유물이라는 제목으로 도록을 발간한 바 있습니다. 그 무렵부터 저는 조상님 행적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졌고 본 블로그를 개설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많은 사람에게 각인된 안동김씨는 숱한 명현과 충신을 배출하였음에도 조선조말 부정적인 의미의 세도정치(勢道政治)라는 틀 속에 갇혀버려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이게 되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저는 이에 대하여 도록 인사말의 저희 문중..

사공표성시품(司空表聖詩品)에 찍힌 이재 권돈인의 인장

아래 사공표성시품(司空表聖詩品)은 필자가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에 기증한 조상 유물 중, 하나로 이 필사본이 이재 권돈인이 썼음은, 2010년 김선원(KBS 진품명품 고서를 감정하셨던 분으로 그때는 김영복) 선생님을 만나뵙고부터이다. 도록 집필진은 단순히 「여러 인장이 찍혀 있는데,..

조선왕조실록(순조) 속의 효명세자와 김유근, 1827년 9월~1828년 5월

아랫글 출처: http://sillok.history.go.kr ------------------------ 1827년 9월 10일 : 상호 도감(上號都監)의 별단(別單)을 내려 도제조 한용귀(韓用龜)에게는 아들·사위·아우·조카 중에 초사(初仕)에 채용하고, 제조 정만석(鄭晩錫)·박종훈(朴宗薰)에게는 가자하고, 조종영(趙鍾永)에게는 숙마(熟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