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거감추집 서문』과 『청원각 시집』,『청랑간실시고 자서』 먼저 아랫글을 읽으십시오. 『한거감추집(閒居感秋集)』 서문(序文) 『청랑간실시고(靑琅玕室詩稿)』 자서(自序) --------------- 아랫글 발췌한 곳: http://mybox.happycampus.com/earticle/4447410 글쓴이: 계명대학교 김영진 교수 『한거감추집서』(踈山居士), 1804년 가을)로 시작하는 冊(분량 최..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2.07.07
6, 25 아품과 황산 김유근의 벼루 제 나이 7살 때 일어난 6, 25전쟁은 우리나라 유사 이래 가장 큰 비극입니다. 유물들의 수난도 함께한 이때 어느 대고모 할머니는 저희 집(양평군 개군면 향리로 당시는 여주군)에 오셔서 조상 할아버지의 영정을 모두 불태웠다고 합니다. 표적이 될 수 있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하셨겠지요? ..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2.06.25
추사 김정희가 직접 편집·출간한 책 첫발견 △ 추사의 편저 <소릉칠절>의 겉표지와 속표지. 겉표지 큰 제목 아래 시암(추사의 호)이 만든 정본이란 뜻의 ‘시암정본(時암定本)’이 작은 글씨로 명기되어 있다. 테두리 장식선을 두른 속표지는 19세기초 청나라에서 들어와 유행하던 양식이다. 박철상씨 제공 한겨례 문화 2004.11.25 ..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2.06.25
황산 시에 차운하다. - 김정희. 아랫글은 [인터넷 교보문고] 한국의 차 문화 천년. 북로그리뷰(1)에 나오는 글로 처음 접한다. 황산 관련 글 수집차원에서 정리 발췌하였다. 次黃山韻 芳辰對酒每咨嗟 難把酒錢歲月賖 愧我塡腸同麥飯 如君稀世是菖花 蠅蚊應少拈茶處 蜂蝶爭喧嫁棗家 滿眼石榴開似火 門前轢轢到詩車 ..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2.06.24
황산과 추사의 일구일학(一丘一壑) 아래 그림은 한국미술 칼럼의 그림과 글씨 속의 인장 이야기 [15. 금리의 <一丘一壑(일구일학)>]에서 발췌하였다. <일구일학>은 ‘언덕과 골짜기’란 의미인데 원래는『한서(漢書)』「서전(敍傳)」에 나오는 글귀라고 한다. 때로는 언덕에 오르고 골자기에서 낚시질 한다는 뜻으..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2.06.24
이덕일의 역사 왜곡 제가 위와 같은 제목(이덕일의 역사 왜곡)으로 글을 올려서 저에 대하여 궁금하시죠. 저는 역사학자도 아니고 글 쓰는 문장가는 더욱 아닙니다. 평범한 사람일 뿐입니다. 저는 2006년 양평군에서 건설하는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에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물을 기증한 바 있습니다. 양평군에서는 2009년 말경 안동김씨 문정공파 기증유물이라는 제목으로 도록을 발간한 바 있습니다. 그 무렵부터 저는 조상님 행적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졌고 본 블로그를 개설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많은 사람에게 각인된 안동김씨는 숱한 명현과 충신을 배출하였음에도 조선조말 부정적인 의미의 세도정치(勢道政治)라는 틀 속에 갇혀버려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이게 되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저는 이에 대하여 도록 인사말의 저희 문중.. 남기고 싶은 글/생각해 봅시다 2011.08.11
사공표성시품(司空表聖詩品)에 찍힌 이재 권돈인의 인장 아래 사공표성시품(司空表聖詩品)은 필자가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에 기증한 조상 유물 중, 하나로 이 필사본이 이재 권돈인이 썼음은, 2010년 김선원(KBS 진품명품 고서를 감정하셨던 분으로 그때는 김영복) 선생님을 만나뵙고부터이다. 도록 집필진은 단순히 「여러 인장이 찍혀 있는데,..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1.08.05
묵소거사자찬 동영상 묵소거사자찬 동영상을 안내합니다. KTV 방송으로 진작에 나왔는데 필자는 오늘에서야 보게 되었다.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보기: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1358251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1.08.05
김광우의 신위와 황산 김유근의 <소송단학도> 김광우의 신위와 황산 김유근의 <소송단학도> 한국 미술가 http://blog.naver.com/misulmun49/110099396800 문인화의 사상과 주제와 화풍 등 전반에 걸쳐 영향을 받은 조선 말기의 이런 회화경향은 사대부 문인인 추사 김정희에 의해 선도되었으나 그 실행세력은 18세기의 조선 후기를 통해 크게 .. 남기고 싶은 글/황산과 그 문우들 2011.05.16
조선왕조실록(순조) 속의 효명세자와 김유근, 1827년 9월~1828년 5월 아랫글 출처: http://sillok.history.go.kr ------------------------ 1827년 9월 10일 : 상호 도감(上號都監)의 별단(別單)을 내려 도제조 한용귀(韓用龜)에게는 아들·사위·아우·조카 중에 초사(初仕)에 채용하고, 제조 정만석(鄭晩錫)·박종훈(朴宗薰)에게는 가자하고, 조종영(趙鍾永)에게는 숙마(熟馬).. 남기고 싶은 글/효명세자와 김유근 2011.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