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 19

경향복기고실(京鄕卜基古實)

종계를 중심으로 시조(김선평 901 - ) 이래 사시던곳을 추적하는데 일부 기록이 남아 글을 쓸 수 있어 감사한다. 아래와 같이추리하였다. ⓛ 안동부內의 강정촌(江亭村)은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종통의 맥을 이어오기를 450년인데 오랜 세거지인지는 이전 기록이 없어 분명하지 않다. 1390년에 작성된 안동부(安東府) 김득우(7世 金得雨) 호구 자료에는라는 글자가 보인다. 따라서 족보상 7世 김득우의 출생 연도가 1331(고려 忠惠王 1) 년임을 알 수 있다. 김득우(金得雨 1331 - ?), 김혁(8世 金革) 부자는 안동부 내의 강정촌[江亭村(歸來亭 있는 곳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옹정골길 19-4]에서 생활하고 계셨다. ② 김득우 부자는 강정촌를 떠나 안동 풍산현의 불정촌(佛頂村)으로 이주한다. 소요산(素..

시조 탐구

고창전투https://namu.wiki/w/%EA%B3%A0%EC%B0%BD%20%EC%A0%84%ED%88%AC 탄생 676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225년이 흘렀다. 태사공은 신라 효공왕 5년(901년 신유)에 경주 흥덕궁(興德宮)에서 탄생하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뿌리를 추적할 수 없고 고창성주 이전에 어떤? 삶을 살으셨는지 알 수 없어 숙제로 남았다. 봉의 눈과 용의 수염, 별의 정기와 호랑이의 위엄을 갖추셨다는 기록으로 보아 늠름한 기상을 엿 볼수 있다. 년표 년도 왕대 년령 기록 901 신라 효공왕 5 1 경주 흥덕궁(興德宮)에서 탄생하셨다고 전승하는데 선대를 알 수없다. 후삼국시대로 900년 견훤은 완산주를 도읍지로 후백제라 하고 901년 궁예는 양길의 군대를 물리치고 소백산맥 이북을 ..

학조대사(學祖大師)

고려 개국공신 김선평(金宣平 901 - ? )의 후예(11世)로 종통의 맥을 이어오길 530여년으로 1431년(세종 13)이 되었다. 조선(1392년 - 1910년)이 개국하고 제4대 세종 임금이 밝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지 13년째로 접어들었다. 경상도 안동부 금산(오늘날의 소산리)에는 비안 현감을 지내신 김삼근(金三近 1419 -1465)이 풍산 불정촌(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부근)에 살다가 금산(金山 오늘의 풍산읍 소산리)으로 옮겨 입향하고 자리 잡은 안동김씨 씨족마을이 시작되고 있었다. 그곳 돈소당((敦素堂 비안공 구택)에서는 할아버지(김삼근)와 할머니(상락김씨) 그리고 가족이 자리를 잡았는데 부친 판관공[金係權, 1410년(태종 10) - 1458년(세조 4)]께서 출사(出仕)하..

석실서원 백두대간을 노짓다

진경문화와 북학파의 산실, 석실서원(아래 클릭) '조선의 화성' 겸재, 중국풍 벗어나 조선의 실제 모습 그리다 겸재 정선 진경문화의 요람 석실서원 · 황호택(서울시립대) 이광표(서원대) 교수 공동집필선원 김상용(仙源 金尙容․1561~1637)... www.ajunews.com 석실서원(石室書院)은 1656년 선원 김상용과 청음 김상헌의 도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창건되었다. 처음 청음(김상헌)의 정침(正寢 와부읍 덕소리 312)에서 출발하였다고 추정하는데 얼마 후 십 여리 떨어진 미호변으로 옮겼고 이어 1663년(현종 4) 석실사(石室祠)라는 편액을 하사받고 사액(賜額)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그 정신은 祖孫(김창협과 김원행)을 통해 나타났는데 조선 후기 교육사업의 요람이었다. 1697년엔 김수항, 민정중..

역사문화 답사기(충북, 경북)

안동김씨 역사문화 답사팀이 2019년 설립되고 세 번째의 답사가 1박 2일의 일정으로 6월 12일 금요일에 경의중앙선과 3호선의 옥수역 4번 출구에서 시작되었다. 15인여 함께한 탐방은 첫 번째가 학조대사 화상탑이다. 속리산 법주사 계곡을 끼고 가는 길은 좁고 굽은 십 리 길에 이르러 짧은 여정상 미리 복천암에 부탁했단다. 두 번, 소형 승합차로 깊고 비탈진 계곡길을 돌아 복천암에 도착했고 탑이 있는 동산에서 회동했다. 세조조에 국사로서 활약했던 학조대사(燈谷: 1432-1514)와 스승이신 신미대사(信眉大師 1403 -1480)의 부도탑이 나란히 서있어 설법하시려는 듯 중생 사랑은 끝이 없다. 비탈진 산길을 어떻게 옮겼을까? 안동김씨 현달(顯達)에는 학조대사가 있다고 널리 알려졌는데 이는 조카이신 서윤..

안동 김씨를 말하다

아랫글 출처 : http://www.joongboo.com/?act=articleView&idxno=918498&mod=news 정조도 인정한 '명가' 안동 김씨…조선 망국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경화사족의 삶과 문화] ⑤절개·학문·문예 겸비 조선후기 최대 명문가 안동 김씨 ▲ 겸재의 ‘석실서원도’와 현재의 석실서원 터. 한강변(현 남양주 미사리)에 자리잡은 석실서원은 안동 김씨 학문의 요람이었다. 그러나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없어지고 지금은 서원 터를 알리는 비석만 남아 있다. ⑤절개·학문·문예 겸비 조선후기 최대 명문가 안동 김씨 이경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교수) 19세기 세도정치의 주역이었던 안동 김씨는 정확히 말해 신(新) 안동김씨 ‘선원파’와 ‘청음파’를 말한다. 선원파는 선원 김상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