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중에 비를 만나 앞의 시에 차운하다 道中遇雨 次前韻 도중에 비를 만나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乍看玄雲遍 언뜻 보니 검은 구름 넓게 퍼져 旋忘赤日烘 금세 뜨거운 붉은 태양 잊게 되네 千溪皆送雨 시내마다 모두 비를 뿌리고 萬葉各吟風 잎사귀마다 바람을 노래하네 汗喘驚全失 흐르던 땀과 가쁜 숨은 온데간데 없고..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송파(松坡) 나루에서 배를 타며 松坡舟中 송파(松坡) 나루1)에서 배를 타며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古渡乘舟穩 옛 나루터에서 조용히 배에 앉으니 淸凉滌午烘 시원한 바람 무더위를 씻어주네 山光全帶雨 산은 전체가 비에 젖고 水氣半含風 강은 반쯤 바람을 머금었네 照髮通身净 머리칼 비추는 햇살에 온몸이 맑아지고 披襟百慮空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석교(石郊)로 가서 기뻐서 짓다 出石郊 喜賦 석교(石郊)1)로 가서 기뻐서 짓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無端三載隔林廬 무단히 삼 년 동안 이 집을 비웠으니 莫怪溪山久誚余 당연히 자연산천 오래도록 나를 꾸짖지 落種居然成大樹 떨어진 씨앗 어느새 큰 나무 되었고 養苗忽已作多魚 기르던 싹 어느새 벌써 부쩍 자랐네 空慙白首塵緣..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비 내리는 속에 동교(東郊)의 작은 집을 생각하며 앞 시에 차운하다 雨中 憶東郊小築 次前韻 비 내리는 속에 동교(東郊)1)의 작은 집을 생각하며 앞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東郊卜宅已多年 동교(東郊)에 집 지은지 몇 년 지났는데 相別經時爾可憐 오랫동안 떠나 있으니 참으로 안타깝구나 沿堤導水平畦出 제방 따라 물 대니 낮은 땅에 흐르고 種樹成林小..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배 타고 종제(從弟)의 양강(楊江) 별장으로 내려가며 기쁜 마음으로 짓다 舟下從弟楊江別墅 喜賦 배 타고 종제(從弟)의 양강(楊江) 별장으로 내려가며 기쁜 마음으로 짓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田舍經營問幾年 논밭 경영 몇 년이나 되었나 臨江結構此堪憐 강가에 집 지으니 참으로 아름답네 積水空明天與㢠 강물 맑고 투명해 아득히 하늘과 맞닿고 平蕪迤綠野相連 초목은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판서 조병현(趙秉鉉)의 편면(便面)2)에 써서 송별하다 題趙尙書秉鉉便面 送別 판서 조병현(趙秉鉉)1)의 편면(便面)2)에 써서 송별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半日林皐悵望餘 반나절 숲에서 가는 그대 슬프게 바라보는데 行塵漸遠意何如 날리는 먼지 점차 멀어지니 내 마음 어떻겠나 遙知今夜高陽舘 아마 오늘 밤 고양(高陽) 객관에서 裁就相思幾幅書 그리..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돌 그림에 직접 쓰다 自題畵石 돌 그림에 직접 쓰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莫說雲根筆下生 구름 뿌리1) 붓 아래서 생긴다 말하지 말라 玲瓏透漏若天成 자연스레 영롱하면서 엉성함 이루어진 것이니 石傍寫就芳蘭出 돌 곁에 피어난 난초 그려 넣어 寄語同心証宿盟 같은 마음으로 오랜 맹세 증명함을 부치네 1) 구름 뿌리 :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이재(彝齋) 늙은이에게 주다 寄彝叟 이재(彝齋) 늙은이에게 주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鬱鬱煩襟撥未能 답답하고 괴로운 마음 떨칠 수 없어 嗒然終日小欄憑 온종일 멍하니 작은 난간에 기대 있네 男兒何必懷鄕里 사나이가 하필 고향을 그리워하나 車馬還須共友朋 말 수레는 필시 벗과 함께 사용..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돌 그림에 써서 이재(彝齋)에게 주다 아랫글은 옮긴이가 황산과 그 문우들 편에서 소개하였는데 황산유고는 순서에 의하고 있으므로 본란에 또 씁니다. 題畵石 寄彛齋 돌 그림에 써서 이재(彝齋)1)에게 주다 我本無寸長 나는 본래 조금의 장점도 없고 性復頑如石 성격도 돌처럼 완고하네 所以與石好 그래서 돌을 좋아해 相對忘朝夕 마주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단오 다음날 여러 손님과 함께 백련산방(白蓮山房)에 들렀다 端陽後一日 與諸客過白蓮山房 不禁山陽之感 漫賦近體 志懷 단오 다음날 여러 손님과 함께 백련산방(白蓮山房)1)에 들렀다. 산양(山陽)의 감회2)를 억누를 수 없어 부질없이 근체시를 지어 뜻을 기록한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山社重來百感新 백련사에 다시 오니 온갖 감정 새록새록 天中景物又佳辰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