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6

저무는 봄 소한당(素閒堂)에서 홀로 앉아 그냥 읊다

暮春 素閒堂 獨坐漫吟 저무는 봄 소한당(素閒堂)에서 홀로 앉아 그냥 읊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綠暗紅稠也可憐 녹음 짙고 꽃 시들어 가련한데 輕陰又是夕陽天 엷은 구름 석양 속 하늘에 퍼지네 葳㽔簾箔通家靜 발을 늘어뜨리니 온 집안이 고요하고 匼匝岡巒繞郭圓 둘러 선 산이 둥글게 성곽을 감..

두실(斗室) 심 상공(沈相公)1)이 보여 주신 「대설(大雪)」시에 차운하다

次斗室沈相公俯示大雪韻 두실(斗室) 심 상공(沈相公)1)이 보여 주신 「대설(大雪)」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大雪連三日 큰 눈이 삼 일 내리 내려 塵煩喜滌襟 세속 번뇌 씻겨 나가 기쁘네 壓低千樹重 모든 나무 나직히 눌러 무겁고 塞破萬谿深 모든 골짝 가득 메워 끝없네 梁賦漫懷古 양부..

이전에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다시 사용해 경산(經山) 정 대사마(鄭大司)

疊前韻 寄呈經山鄭大司馬 이전에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다시 사용해 경산(經山) 정 대사마(鄭大司馬)236)에게 드리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司馬從前大耐官 정 판서 이제까지 관직을 잘 수행하니 文章經濟兩稱完 문학과 정치 둘 다 완벽하지 居常孝友言無擇 평소 효성 우애 지극해 잘못된 말 없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