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깊어가는데 秋深 가을이 깊어가는데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浮生須適意 뜬 구름 같은 인생 뜻대로 살아야지 富貴亦何時 부귀공명 어느 때이겠는가 鐘鼎與山水 고관대작과 산림처사 役心兩皆癡 마음 쓰니 둘 다 어리석구나 秋風忽凄厲 가을바람 어느새 싸늘해져 羣芳失所持 꽃들이 의지할 곳 잃네 燦燦籬下菊 울..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저무는 봄 소한당(素閒堂)에서 홀로 앉아 그냥 읊다 暮春 素閒堂 獨坐漫吟 저무는 봄 소한당(素閒堂)에서 홀로 앉아 그냥 읊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綠暗紅稠也可憐 녹음 짙고 꽃 시들어 가련한데 輕陰又是夕陽天 엷은 구름 석양 속 하늘에 퍼지네 葳㽔簾箔通家靜 발을 늘어뜨리니 온 집안이 고요하고 匼匝岡巒繞郭圓 둘러 선 산이 둥글게 성곽을 감..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그리운 사람 아랫글은 옮긴이가 황산과 그 문우들 편에 소개하고 추적하였는데(보기: http://blog.daum.net/0113508344/4719588) 황산유고는 순서에 의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본문만 옮깁니다. 所思 그리운 사람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靑靑江潭樹 푸르고 푸른 강가 나무 日夕增所思 밤낮으로 그리움만 더하네 所思在何處 그..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봄비 春雨 봄비 김유근(金逌根 1785~1840) 藹然今夜雨 부슬부슬 오늘밤 내리는 비 羣品喜幷蘇 만물이 일제히 소생하니 기쁘네 細細生痕迹 아주 가는 생명의 흔적이 생기나 冥冥入有無 잠잠히 있는 듯 없는 듯 凍枝柔欲嚲 언 나뭇가지 부드럽게 녹는 듯 坼甲寂如愚 껍질 벗은 새싹 굼떠 고요하네 却看靑山色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연산(硏山) 그림에 쓰다 題硏山圖 연산(硏山)1) 그림에 쓰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何年石舫泛天涯 어느 해 돌배를 하늘가에 띄울까 來日藍田路不遮 내일 남전(藍田)2)가는 길 막히지 않았으니 舊頃多添新種子 오래된 땅에 새로운 종자 많이 심어 載將玉筍向誰家 자라난 옥 싣고 누구 집으로 향할까 鐵如詰屈玉嵬峩 쇠처럼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두실(斗室) 심 상공(沈相公)1)이 보여 주신 「대설(大雪)」시에 차운하다 次斗室沈相公俯示大雪韻 두실(斗室) 심 상공(沈相公)1)이 보여 주신 「대설(大雪)」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大雪連三日 큰 눈이 삼 일 내리 내려 塵煩喜滌襟 세속 번뇌 씻겨 나가 기쁘네 壓低千樹重 모든 나무 나직히 눌러 무겁고 塞破萬谿深 모든 골짝 가득 메워 끝없네 梁賦漫懷古 양부..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풍은 국구(豐恩國舅)의 회갑을 축수(祝壽)하며 壽豐恩國舅花甲 풍은 국구(豐恩國舅)1)의 회갑을 축수(祝壽)하며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嘉祥積累在名門 명망 있는 집안에 아름다운 일 쌓이고 勳業淸朝國舅尊 조정 맑게 하는 공업은 국구가 으뜸이지 五福居先仁者壽 오복(五福)2)의 으뜸은 어진 사람 장수하는 것이라고 我聞..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이전에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다시 사용해 경산(經山) 정 대사마(鄭大司) 疊前韻 寄呈經山鄭大司馬 이전에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다시 사용해 경산(經山) 정 대사마(鄭大司馬)236)에게 드리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司馬從前大耐官 정 판서 이제까지 관직을 잘 수행하니 文章經濟兩稱完 문학과 정치 둘 다 완벽하지 居常孝友言無擇 평소 효성 우애 지극해 잘못된 말 없고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연꽃 그림에 써서 원춘(元春)에게 주다 自題畵荷 贈元春 연꽃 그림에 써서 원춘(元春)235)에게 주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亭亭花葉水中央 연못 가운데 꼿꼿한 연꽃 筆下天然聞妙香 붓 따라 자연스레 오묘한 향기 풍기네 我欲拈將山寺去 이 꽃 들고 산사(山寺)로 가서 與君同証法華場 그대와 함께 불교의 진리 증명하고파 235) 원춘(元春) :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벌 蜂 벌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前行後接似挨次 차례 지켜 앞선 놈 가고 뒷 선 놈 좇으며 風擁雲屯勢莫遮 바람처럼 날쌔고 구름처럼 떼로 모여 그 기세 막을 자 없네 一寸樓臺千疊戶 한 치 되는 누각 천 겹으로 집 지어 三時採獵兩番衙 봄 여름 가을 꿀을 따서 두 무리 번갈아 지키네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