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균(金性均)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1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11 39 × 25 ---------------------------------------------------------------- 도록 p333~334 57. 김성균(金性均)이 김병주(金炳㴤)에게 보낸 편지 1 (1884.3.5) 去月念六 伏承十一出親筆下書 伏喜先於伏慰 間又日富 春寒尙峭 伏不審氣體 거월념육 복승십일출친필하서 복희선어.. 기증유물 도록/편지 2011.02.09
가을 밤 秋夜 추야 가을 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殘月生簾外 잔월생렴외 기우는 달 발 밖에 뜨고 輕颸入座間 경시입좌간 가벼운 바람 앉은 곳에 불어오네 依微將曙樹 의미장서수 다가오는 새벽에 나무 희미하고 寂歷己秋山 적력기추산 가을이라 산은 이미 낙엽이네 舊雨人何在 구우인..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2.07
흠정사고전서간명목록(欽定四庫全書簡明目錄)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역사관> 소장 도록 p195 흠정사고전서간명목록(欽定四庫全書簡明目錄) 중국 청나라 건륭제 39년(1774)에 우민중(于敏中)이 황제의 명에 따라 엮은 책. 목판본. 『사고전서(四庫全書)』가운데 중요한 서적을 모아 연혁과 대의(大意)를 간명하게 적은 목록이다. 총 20권이나 이번.. 기증유물 도록/서적 2011.02.07
동교(東郊)의 장원(莊園)을 생각하며 憶郊莊 억교장 동교(東郊)177)의 장원(莊園)을 생각하며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無數鳴蟬晚照邊 무수명선만조변 매미울음 셀 수 없이 석양빛에 들려오고 西風矯首憶華年 서풍교수억화년 서풍에 머리 들어 젊은 시절 생각하네 故人不至憐衰柳 고인부지련쇠유 옛 사람 오지 않아 시..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1
이천민(李天民)의 시에 차운하다 次天民韻 차천민운 이천민(李天民)176)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碧宇生秋氣 벽우생추기 푸른 집엔 가을 기운 일어나고 林園豁署情 림원활서정 숲 동산엔 더운 기운 물러가네 疎簾通月色 소렴통월색 성긴 발엔 달빛이 들어오고 深戶進蟲聲 심호진충성 깊은 문엔 벌래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1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又次前韻 우차전운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樓外凉風至 루외량풍지 누각 밖에 서늘한 바람 이르고 天邊大火流 천변대화류 하늘가에 대화성(大火星)173)이 흐르네 頽唐將卒歲 퇴당장졸세 불우한 신세로 세월을 보내다가 衰颯又逢秋 쇠삽우봉추 쇠잔한 몸으..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1
칠월 칠일 칠석 七夕 칠석 칠월 칠일 칠석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空堦連月地 공계연월지 빈 뜰은 달빛을 이어받고 河漢澹如流 하한담여류 은하수는 담당히 흘러가네 天上雙聖夜 천상쌍성야 하늘은 견우성 직녀성 뜨는 밤 人間一葉秋 인간일엽추 지상은 낙엽 지는 가을 會合前生樂 회합전생락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1
칠월 이일 七月二日 칠월이일 칠월 이일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投老交遊斷 투노교유단 늙은 뒤에 교제가 끊기니 餘生竟孰依 여생경숙의 남은 인생 결국 누구를 의지할까 衆咻隨楚客 중휴수초객 무리들 욕지거리 굴원(屈原)을 따르고 孤憤有韓非 고분유한비 한비자(韓非子)는 고분(孤憤)을..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1
찌는 듯한 더위 苦熱 고열 찌는 듯한 더위 김유근(金逌根 1785~1840) 赤日臨天中 적일임천중 붉은 태양 하늘 가운데 떠서 彌空布大火 미공포대화 하늘 가득 큰 불 기운 쏟아내고 萬里無端倪 만리무단예 만리 먼 곳 끝없이 烘雲遍朶朶 홍운편타타 횃불 같은 구름 송이송이 펼쳐있네 寂寂蟬被噤 적적..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1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又次前韻 우차전운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驀地相逢眼忽明 맥지상봉안홀명 뜻밖에 서로 만나 눈이 문득 밝아지니 藕花無數葉間生 우화무수엽간생 나란한 꽃 무수히 잎 사이 피어 있네 隨風排暑墻陰坐 수풍배서장음좌 바람 따라 더위 밀치고 담장 그늘에 앉고..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