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순(金龍淳)이 김유근(金逌根)에게 보낸 편지 8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63 47 × 34 --------------------------------------------------------------- 도록 p298~299 8. 김용순(金龍淳)이 김유근(金逌根)에게 보낸 편지 8 (1821, 1, 10) 李生便當先此入去矣 一直晴和 日間侍況如何 朝者撥回 始見新年書 知諸家皆 이생편당선차입거의 .. 기증유물 도록/편지 2009.12.12
향산초고(香山草稿)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145 향산초고(香山草稿) 김익진(金翼鎭)의 시고(詩稿)로 추정된다. 향산거사(香山居士)는 김익진의 호이다. 괘선도 없이 호서(胡書)로 필사된 시고(詩稿)이다. 내용은 대부분 사우(士友)들과 주고받은 시 및 용문산 주변의 경치를 읊은 것이다. 시 중에.. 기증유물 도록/서적 2009.12.12
소산 (小山) 김병주(金炳㴤) 유묵 6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250 소산 (小山) 김병주(金炳㴤) 유묵 6 重到楊江墅 중도양강서 다시 양강(楊江) 별장에 오니 淸閒在此間 청한재차간 맑은 한가함이 여기에 있네 千檣遍碧海 천장편벽해 수 많은 돗단배는 바다로 통하고 ○屋近靑山 ○옥근청산 집은 청산(靑山)에 가까.. 기증유물 도록/유묵, 유물, 교지 2009.12.12
소산 (小山) 김병주(金炳㴤) 유묵 5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249 소산 (小山) 김병주(金炳㴤) 유묵 5 □□□□□□□ □□□□□□初定 園菊香來酒欲行 원국향래주욕행 정원의 국화 향기 오니 술 생각이 나네 □秀玄猿如可廳 □수현원여가청 □秀의 검은 윈숭이 들을 수 있고 隴山語鳥若爲情 농산어조약위정 농.. 기증유물 도록/유묵, 유물, 교지 2009.12.12
혜거시고(惠居詩稿)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144 혜거시고(惠居詩稿) 김정균(金定均)의 시고(詩稿). 실사본. 주로 사우(士友) 및 집안 사람들과 창수(唱酬)한 시와 기행시가 실려 있다. 권 3의 「려구주해(儷句註解)」는 7언 율시 등에서 사용되는 대구들 중 고전 및 사서(史書) 에 전거(典據)를 가지.. 기증유물 도록/서적 2009.12.11
소산 (小山) 김병주(金炳㴤) 유묵 4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248 소산 (小山) 김병주(金炳㴤) 유묵 4 □□□□□書多 歲暮人間不樂何 세모인간불락하 세모에 세상이 즐겁지 않은 들 어떠하리 斗酒爲成今夜會 두주위성금야회 담근 말술은 오늘 밤 모임을 위한 것 層氷却踏舊時過 층빙각답구시과 두꺼운 얼음을 밟.. 기증유물 도록/유묵, 유물, 교지 2009.12.11
소산(小山) 김병주(金炳 㴤) 유묵 3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247 소산(小山) 김병주(金炳 㴤) 유묵 3 □□□□□□動 □□□□□□동 梅花一樹最堪憐 매화일수최감련 한 그루 매화나무가 가장 가련하구나 歲時暮矣閑書幌 세시모의한서황 한 해가 저물어 가는데 서재는 비위두고 湖海茫然放酒船 호해망연방주선 .. 기증유물 도록/유묵, 유물, 교지 2009.12.11
하옥초고(荷屋草稿)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143 하옥초고(荷屋草稿) 김좌근(金左根, 1797~1869)의 문집. 하옥(荷屋)은 김좌근의 호다. 김좌근의 시(詩)가 정서(淨書)되어 있는 미간행의 초고(草稿)이다. 편사(編寫)한 사람은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제목은 없이 본문만 필사되어 있다. 위의 사진에 다음.. 기증유물 도록/서적 2009.12.11
김용순(金龍淳)이 김유근(金逌根)에게 보낸 편지 7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61 47 × 34 ------------------------------------------------------- 도록 p297~298 7. 김용순(金龍淳)이 김유근(金逌根)에게 보낸 편지 7 (1821, 1, 9) 歲翻以後 入日阻音 以箕城之多便 此亦異事 連日晴煖 宛有春意 老人調遣 세번이후 입일조음 이기성.. 기증유물 도록/편지 2009.12.10
황산유고(黃山遺稿) 및 초고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 <역사관> 소장 도록, p142 황산유고(黃山遺稿) 및 초고 김유근(金逌根, 1785~1840)의 문집. 필사본. 미간행의 초고(草稿)로서, 정서(淨書)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간행을 염두에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간행된 기록은 없다. 현재는 곤(坤))책(冊) 권3, 4만이 전한다. 3은 시(詩).. 기증유물 도록/서적 200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