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 393

어떤 사람이 「백발시(白髮詩)」를 외워주어 그 운자를(韻字)에 맞춰 시를

有人誦傳白髮詩 遂步其韻 어떤 사람이 「백발시(白髮詩)」를 외워주어 그 운자를(韻字)에 맞춰 시를 짓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何故欺人來不遲 왜 사람 속여 이리 빨리 찾아 왔나 星星却向兩邊垂 양쪽 귀밑머리 백발 드리우네 桑楡收力應無日 늘그막에 공적 세울 날 당연히 없고 蒲柳經霜已有時 허..

한가한 시간 보내며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遣閒 又疊前韻 한가한 시간 보내며 또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往昔尋常不到園 예전엔 동산에 이른 적 없었는데 朝來習步始開門 아침에 산보하며 처음 문을 열었네 壯心已覺如灰冷 씩씩한 마음 이미 식은 재와 같고 衰骨難禁就日暄 쇠약한 몸 햇볕 쬘 수 밖에 없네 頗怪雨聲通昨夜..

작약(芍藥) 핀 정원을 슬퍼하며 앞의 시에 차운하다

悼葯園 次前韻 작약(芍藥) 핀 정원을 슬퍼하며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自栽紅葯遍庭園 작약 꽃 심어 정원에 가득한데 傲骨生來不出門 뻣뻣한 성격이라 예전부터 바깥출입 없었네 看作詩書爲性名 본성과 이치 닦느라 시경(詩經) 서경(書經) 보고 無關妻子問寒喧 안부 묻는 처자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