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 393

길 가다 감회가 일어 소식(蘇軾)의 「방이공택산방불우(訪李公擇山房不遇)

道中有懷 次東坡訪李公擇山房不遇韻 길 가다 감회가 일어 소식(蘇軾)의 「방이공택산방불우(訪李公擇山房不遇)」시1)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山鳥飛飛傍水禽 산새 날아 물새 옆에 가서 空山盡日相和吟 텅빈 산 온종일 서로 노래하네 積雨溪漲通江浦 많은 비에 시내 불어 강에 통하니 漁..

남한산성에 들어가 다시 앞의 시에 차운하다

入山城 復次前韻 남한산성에 들어가 다시 앞의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延賓開爽閣 손님 맞아 시원한 누각 여니 長夏少炎烘 한 여름 불볕더위 사그라드네 絶頂無時雨 정상에 수시로 비 내리니 喬林不日風 키 큰 나무에 머지않아 바람 불겠지 簾深衣屨凈 주렴은 깊어 의관이 고요하고 牀..

남한산성 바라보며 두보(杜甫)의 시에 차운하다

望山城 次老杜韻 남한산성 바라보며 두보(杜甫)의 시1)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汗流脅息仰城門 땀 흘리고 헐떡거리며 성문을 바라보니 阧絶山形似覆盆 치솟은 산의 형세 엎어놓은 동이 같네 路險每愁逢犖确 험한 길 돌무더기 만날 때마다 걱정하고 林霏長不辨朝昏 구름 낀 숲 아침인지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