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이 빠져 한 문공(韓文公)의 시에 차운하다 齒落 次韓文公韻 이빨이 빠져 한 문공(韓文公)의 시1)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念我生之初 생각해보면 나 처음 태어날 때 豈有一牙齒 어찌 어금니 하나 있었겠나 在懷八九月 부모님 품에 있는 여덟아홉 달 齒漸生不已 점차 이빨이 쉬지 않고 자라나 上齦與上2)齶 아래위 잇몸에 充滿方始止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한가히 읊다 閒吟 한가히 읊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小樓斜日倚西風 해 비낀 작은 누각 서풍에 기대 啼鳥飛花悵望中 슬프게 바라보니 새 울고 꽃 날리네 惟有堦前山躑躅 섬돌 앞에 산철쭉만이 獨將秀色殿春紅 홀로 저무는 봄 붉은 빛깔 빼어나네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성상께서 성균관(成均館)에 납신 날 삼가 짓다 太學臨幸日 恭賦 성상께서 성균관(成均館)에 납신 날 삼가 짓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吉日臨雍玉趾勞 좋은 날 가려 수고롭게 성균관에 납시니 迎鑾花柳繞㫌旄 성상 수레 맞이하는 꽃과 버들 의장대를 감싸네 拜瞻前聖其規一 옛 성현 배알하는 법도 한결같고 追述先王定制高 선왕 추존하는 제도도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벗을 그리워하며 懷人 벗을 그리워하며 김유근(金逌根 1785~1840 記否花前共擧觴 꽃 보며 함께 술잔 들던 일 기억하는지 更憐明月照人光 우리 비추던 밝은 달빛 아름다웠지 月明花落人空遠 달 밝은데 꽃은 지고 사람도 멀리 갔으니 兩地相思隔一方 멀리 떨어져 두 곳에서 서로 그리워하는구나 花光月色兩相宜 화려한 꽃..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봄이 다 가다 春盡 봄이 다 가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靑春捨我去 푸른 봄 나를 버리고 떠나 一朝欲何之 하루아침에 어디로 가려는가 滿園紅與綠 정원 가득 붉은 꽃 푸른 잎사귀 次第便相辭 차례차례 시들어가네 無風亦無雨 바람도 없고 비도 없는데 委積忽如遺 어느새 버린 듯이 쌓여 空添騷客恨 공연히 다한 시..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봄비에 두보(杜甫)의 시에 차운하다 春雨 次老杜韻 봄비에 두보(杜甫)의 시1)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凄凄三月雨 삼월에 주룩주룩 비 내리니 春物喜方生 봄의 생물 기뻐 한창 자라네 灑午渾無跡 낮엔 비 내린 자취 전혀 없고 鳴昏忽有聲 저물녘엔 문득 새 울음 들리네 停陰連樹暗 멈춘 구름 나무에 이어져 어둡고 餘靄入花明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머라카락을 손질하다 理髮 머리카락을 손질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愁將亂髮理如絲 봉두난발을 실처럼 가지런히 손질하려니 근심스럽구나 短短那堪不及眉 너무 짧아 눈썹에도 내려오지 않네 一日垢存心復癢 하루만 때가 끼어도 마음까지 가렵고 百回梳去手空疲 백 번 빗질해도 손만 공연히 아프네 有時摸索還逢笑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세설신어(世說新語)』를 읽고 讀世說 『세설신어(世說新語)』1)를 읽고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淸談諧謔不須驚 고상한 얘기 우스운 얘기 놀랄 필요 없이 隨手翻過足了情 손 가는대로 읽어 넘겨도 마음에 충분하네 麈尾習知王謝物 주미(麈尾)는 왕연(王衍)과 사안(謝安) 물건이고2) 龍頭幾錯管華名 용두(龍頭)는 관영(管寧)과 화흠(華..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봄날 홀로 앉아 春日獨坐 봄날 홀로 앉아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小院人稀日欲斜 사람 없는 작은 정원 해는 기울려 하고 在家愁絶似離家 집에 있어도 지독히 근심스러워 객지에 있는 듯 那堪寒食恒多雨 한식날 계속 쏟아지는 폭우를 어찌 견디나 却待芳醪且賞花 향긋한 술 마시며 꽃을 감상하네 衰境偏深鄕里感 노년..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
봄날 밤 조촐한 술자리 春夜小酌 봄날 밤 조촐한 술자리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風光忽覺暢疎襟 좋은 경치에 문득 흉금 트이고 佳客當筵酒細斟 훌륭한 손님 술자리에 앉아 조금씩 술 마시네 所欠此生餘一死 부족한 이 삶에 죽음만 남았으니 誰將今夜抵千金 누가 오늘밤을 천금 값어치로 칠까 多情須約花間月 다정한 마음에 .. 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1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