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 393

두실(斗室) 심 상공(沈相公)1)이 보여 주신 「대설(大雪)」시에 차운하다

次斗室沈相公俯示大雪韻 두실(斗室) 심 상공(沈相公)1)이 보여 주신 「대설(大雪)」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大雪連三日 큰 눈이 삼 일 내리 내려 塵煩喜滌襟 세속 번뇌 씻겨 나가 기쁘네 壓低千樹重 모든 나무 나직히 눌러 무겁고 塞破萬谿深 모든 골짝 가득 메워 끝없네 梁賦漫懷古 양부..

이전에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다시 사용해 경산(經山) 정 대사마(鄭大司)

疊前韻 寄呈經山鄭大司馬 이전에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다시 사용해 경산(經山) 정 대사마(鄭大司馬)236)에게 드리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司馬從前大耐官 정 판서 이제까지 관직을 잘 수행하니 文章經濟兩稱完 문학과 정치 둘 다 완벽하지 居常孝友言無擇 평소 효성 우애 지극해 잘못된 말 없고 ..

정월대보름날 옥호산방에 눈이 내려 기뻐서 근체시를 짓다

元夜 山房遇雪 喜賦近體 정월대보름날 옥호산방에 눈이 내려 기뻐서 근체시를 짓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山房盈尺雪 산방에 한 자나 쌓인 눈 元夜趁人來 정월대보름 사람 따라 왔네 玉削千峯列 옥을 깎은 듯 천 봉우리 늘어서 있고 花添萬樹開 꽃이 핀 듯 온 나무에 눈꽃이 피었네 險夷平等見 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