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유물 도록/황산유고 206

청류당(聽流堂 )에서 순상(巡相) 대감께서 주신 시에 삼가 차운하다.

聽流堂 謹次巡相台丈俯示韻 청류당 근차순상태장부시운 청류당(聽流堂 )95)에서 순상(巡相) 대감께서 주신 시에 삼가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灣城駐節兩旬同 만성주절양순동 의주에서 머무시는 스무날 함께 지내고 又遂行? 薩水東 우수행? 살수동 또 가는 수레 따라 살수(..

용만을 떠나려고 할 때 다시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과 이별하다

將發龍灣 復次前韻 奉別灣尹令公 장발용만 복차전운 봉별만윤영공 용만을 떠나려고 할 때 다시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과 이별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我車旣戒君踟躕 아차기계군지주 내 수레 떠나려는데 그대 서성이니 春山悵別增愁寂 춘산창별증수적 봄 산..

또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에게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

又次前韻 奇呈灣尹令公 求和 우차전운 기정만윤영공 구화 또 앞의 시에 차운하여 만윤 영공에게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官樓睡起聞啼鳥 관루수기문제조 관청 누각에서 졸다 깨니 새는 지저귀는데 白日下堦春寂寂 백일하계춘적적 햇빛이 섬돌 밑을 비추는 ..

장난삼아 절구(絶句) 한 수를 지어 관기(官妓) 옥도(玉桃)에게 이별의 징표

戲題一絶 贈別官妓玉桃 희제일절 증별관기옥도 장난삼아 절구(絶句) 한 수를 지어 관기(官妓) 옥도(玉桃)에게 이별의 징표로 주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龍灣何處首重回 용만하처수중회 의주 어느 곳에 자주 고개 돌려 보는가 春日小桃花政開 춘일소도화정개 봄날 작은 복숭아..

만윤 영공(灣尹令公)이 부채에 대나무를 그리고 고시(古詩)를 써서 주시기

灣尹令公 以便面寫竹兼書古詩寄贈 遂次其韻而謝之 만윤영공 이편면사죽겸서고시기증 수차기운이사지 만윤 영공(灣尹令公)이 부채에 대나무를 그리고 고시(古詩)를 써서 주시기에 마침내 그 시에 차운하여 사례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龍灣得公西道主 용만득공서도주 공이 의..

정사정(靜沙亭)에서 낮에 모였다. 문례직각(問禮直閣)87)께서 주신 시에 차

靜沙亭晝集 次問禮直閣奇示韻 정사정주집 차문례직각기시운 정사정(靜沙亭)에서 낮에 모였다. 문례직각(問禮直閣)87)께서 주신 시에 차운하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山如罨晝水如藍 산여엄주수여람 산은 선명한 그림 같고 물은 쪽빛 같아 盡日相看興未酣 진일상간흥이감 ..

앞에 시[오우정(五友亭)에서 주인의 벽에 쓰다]에 차운하여 주인에게 주다

次前韻贈主人 차전운증주인 앞에 시[오우정(五友亭)에서 주인의 벽에 쓰다]에 차운하여 주인에게 주다 김유근(金逌根 1785~1840) 莫設風光屬阿誰 막설풍광속아수 자연 경치가 누구의 소유라 말하지 말라 無何且醉習家池 무하차취습가지 조금 뒤엔 습씨(習氏) 집 연못에서 취할 것이니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