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心境) 사람들은 왜? 싸울까 소리 높여 상대 잘못만 캐내네 그렇다면 서로 잘못함이 없는가 상대편에 서 있지 않음 때문이지 이기주의가 근본원인인데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옳다네 서로 사랑이 부족하기 때문이야 너그러움과 약한 마음 같은가? 닮은꼴이지만 달라 이.. 남기고 싶은 글/낙서장 2013.02.26
이월의 끝자락에서 이월도 끝자락, 삼월 문턱에 섰네 유난히도 눈이 많은 이월이었는데 쌓인 눈은 많이 녹아 제 모습 찾아가고 잔설은 남아있어 음 양지 구분되네 겨울과 봄의 완충지대 이월 추운 날이 많았고 눈 또한 많았다네 꽃샘추위 삼월이 다가오는데 꽃봉오리 트다 움츠러들게 하겠지 봄은 멀지 않.. 남기고 싶은 글/낙서장 2013.02.26
부럼 정월 대보름날 한낮인데 깨물어 터트린 부럼 생각이네 밤, 잣, 땅콩, 은행 등 잠 깨 우지직 깨물어 터트렸지 부스럼 나지 말라고 일 년 건강을 담았는데 잊고 있어 생각도 못했지 찾아온 임! 글 띄워서일게 하네 물은 정체된 곳 흐르는 곳 얼음, 물 구분이 완연한데 오늘이 대보름날 맞나 .. 남기고 싶은 글/그리움은 강물처럼 2013.02.24
정월 대보름날 오늘은 대보름날 어린 시절, 이네 참 깼단 나이 숫자 짚 띠 묶어 초저녁 동산에 올랐어요 동쪽 산자락 붉게 타오르네 둥근 달 솟아오르기를 기다리며 설렘 일어 두근거렸지 떠오르는 달님 보며 불붙은 깼단 달님 절받으세요. 달님 절받으세요 소원을 담아 빌었지 바라보니 온 세상은 불야.. 남기고 싶은 글/그리움은 강물처럼 2013.02.24
맹씨행단(孟氏杏壇)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여기까지이다. 배방면 중리 마을은 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은데도 깊은 산골을 가는 느낌이다. 설명은 약하니 안내판을 참조하기 바란다. 고려 말 이군불사(二君不事)의 고결한 절개를 지키다 순절한 두문동 72현의 한 분인 상서공 맹유(尙書公 孟裕) 동..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3
외암리 민속마을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의 연속이다. 우리나라 마을의 일반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고, 잘 간직하고 있는 곳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아 더욱더 옛날로 돌아간 듯한 아산 송악면 외암리로 우리 여행을 떠나요. 조선 시대 중엽 명종(1534~1567) 때에 장사랑(將仕郞) 벼슬을 하던 이정(李廷..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3
아산만의 해군 퇴역 함정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의 연속이다. 공세리 성당을 나와 아산만에 도착했다. 그곳에는 퇴역한 해군 함정 두 척이 공개되어 잠시 시간을 내었다. 이광웅 씨와 동행하여 올랐는데 오밀조밀한 구조가 아! 이곳이 왕년엔 우리 해군 병사가 조국의 바다를 누비며 그 임무를 수행하였..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2
공세리 성당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점심 후 바로 찾았다. 공세리는 조선 시대 충청도 서남부인 아산, 서산, 한산, 청주, 옥천, 회인 등 40여 개 마을에서 거두어들인 세곡을 보관하던 창고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박해의 현장에 세워진 성당은 서해 아산만과 이웃하고 있다. 1895년 6월에 ..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2
윤보선 전 대통령 선영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연속으로 윤보선 전 대통령 선영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방에서 태어나셨다. 기를 받으려 함인가? 천영식 씨 윤보선 생가와 이웃한 곳으로 먼저 만나는 곳이다. 이곳에는 윤일선, 윤승구 가옥이 있고 모두 민속문화재로 지정 되어있다. 윤보선 묘역으로..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2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묘역 2월 20일 주유천하 아산지역 답사로 연속해서 올린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1545년 4월 28일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임진왜란 때 삼도수군통제사로 거북선을 만들어 옥포, 당포, 당항포, 한산도 앞 바다와 부산, 명랑, 고금도 해전에서 왜선 수 백 척과 왜병 수 만 명을 무찔러 나라와 겨례.. 남기고 싶은 글/문화유산 2013.02.21